요약 탭컨텐츠
연구목적
○ 자동차 산업의 기술 패러다임 변화를 혁신 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우리 기업들이 택할 수 있는 전략적 선택지와 그것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 정책 방향을 제시
- 기술적 변화의 핵심 내용과 그러한 기술적 변화가 산업 가치사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 지배적 디자인의 지위를 얻기 위해 기업들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혁신의 격전지 파악
- 기술 변화가 제기하는 조직적 과제에 기업들이 대응하는 방식을 몇 가지 전략군으로 유형화하고 각각의 대응 방식이 지닌 장단점을 분석
- 한국 기업이 선택할 수 있는 전략적 선택지의 범위를 우선순위와 함께 제안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의 우선순위도 제안
주요내용
○ 기술 변화: 구조, 전동화, 자율주행으로 나누어서 자동차 산업의 기술 패러다임 변화를 분석
○ 가치 배분의 변화: 전기동력 자율주행차의 원가를 레거시 부품, 전기차 부품, 자율주행 부품으로 나누어서 분석
○ 변화의 본질: 급진적 혁신, 제품 개념의 변화, 산업 정체성의 변화, 혁신 방식의 변화
○ 혁신의 격전지: 지배적 디자인의 지위를 얻기 위해 기업들이 경쟁하는 19개 영역 확인
○ 3대 산업의 융합 대응 유형: 수직 통합, 완성차 주도 생태계, ODM 기반 빅테크 생태계
○ 우리 기업의 전략적 선택 범위와 우선순위
- 부품 부문: ① 자율주행용 HW 부품, ② 전기차 동력전달장치(모터, 감속기, 전력제어 부품), ③ AI 반도체 등 차량용 반도체, ④ 배터리와 배터리 가치사슬, ⑤ 자율주행 SW, ⑥ ODM 생산
- 완성차 부문: 자율주행 SW는 내재화가 필수적이고 배터리까지 내재화하는 것은 선택 사항
정책대안
○ 전문가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기업 경쟁력에서 차지하는 중요도는 높지만 우리 기업의 경쟁력은 취약한 영역을 우선 지원 영역으로 제안. 앞서 제안한 기업의 전략적 선택 영역과 비교하면 영역은 비슷하고 순서는 약간 다름
- ① 자율주행 SW, ② AI 반도체, ③ 센서(카메라, 라이다, 레이더), ④ OTA 업그레이드와 보안, ⑤ 특정 희귀금속의 확보, ⑥ 배터리 재활용.
○ 정책 수단: 정부 R&D 지원, 대규모 벤처캐피탈 펀드 조성, 해외 자원 투자 및 공급망 안정화
목차 탭컨텐츠
국문 요약 i
영문 요약 I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방법 4
제2절 이론 리뷰 6
1. 급진적 혁신의 이해를 위한 연구 6
2. 급진적 혁신과 기업의 생존에 대한 연구 9
3. 소결: 연구의 구조 15
제2장 급진적 혁신 이해하기(1): 기술 패러다임의 변화 17
제1절 기술 변화(1): 아키텍처 17
1. 자동차 아키텍처와 부품의 변화 17
2. 플랫폼 혁신과 공용화 23
3. 전장의 모듈화 29
4. 생산 공정의 혁신 31
5. 소결: 지배적 디자인을 향한 경로 32
제2절 기술 변화(2): 전동화 35
1. 전기자동차 배터리 산업 및 시장의 현황 36
2. 전기자동차 배터리 핵심소재 38
3. 전기자동차 배터리 셀 제조 및 디자인 46
4. 전기차 충전 인프라 및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54
5. 전동화 관련 4대 이슈와 산업 지형 시나리오 58
제3절 기술 변화(3): 자율주행 68
1. 자율주행 기술의 개요 68
2. 자율주행 기술 개발 동향 74
3. 자율주행의 5대 전략적 이슈 및 전망 86
4. 소결 95
제3장 급진적 혁신 이해하기(2): 가치사슬과 가치배분 구조의 변화 97
제1절 가치사슬의 변화 97
1. 가치사슬 분석의 유용성 97
2. 자동차 산업의 가치사슬 변화 98
3. 타 산업의 가치사슬 변화와 비교 102
제2절 가치배분 구조의 변화 105
1. 자동차의 구조와 주요 부품의 변화 105
2. 전기차의 원가 구조 106
3. 전기동력 자율주행차의 가치배분 구조 111
4. 자동차 산업 가치배분 구조의 변화가 가지는 함의 115
제3절 종합: 변화의 본질과 조직적 과제 118
1. 변화의 본질 118
2. 변화의 정도: 어디쯤 와 있는가? 121
3. 기술 변화가 제기하는 조직적 난제 123
제4장 급진적 혁신에서 살아남기 125
제1절 조직 내부 역량의 재구축 125
1. 자동차 기업의 인적 구성 변화의 필요성 125
2. 주요 기업들의 SW 인력 확충 동향 127
3. 한국 완성차 업체의 대응: 현대자동차의 계약학과 운영 사례 130
4. 대학의 대응 132
제2절 조직 간 협력을 통한 역량 구축: 수직통합 vs. 제휴 136
1. 수직통합 모델: 테슬라 사례 136
2. 협력 모델: 자동차 산업의 조직 간 협력 현황 146
3. 종합: 조직적 난제의 해결을 위해 160
제5장 정책 과제 163
제1절 자동차 산업은 혁명 중: 종합 및 전망 163
1. 분석 결과 종합 163
2. 지배적 디자인 경쟁의 전망 164
제2절 정책 과제 166
1. 우리 기업의 전략 범위 166
2. 정책 과제 168
참고문헌 173
[부록 1] 전문가 서면 인터뷰 질문지 203
[부록 2] 기업별 동향 220
1. 폭스바겐 220
2. 벤츠 226
3. GM 232
4. 포드 237
5. 도요타 243
6. 혼다 250
7. 현대 255
8. 기아 262
9. 구글 265
10. 아마존 270
11. 애플 275
12. 엔비디아 279
13. 모빌아이 283
14. 소니 287
15. LG전자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