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힘
박사인력활동조사

박사인력의 구성, 교육, 일자리, 성과, 국제
이동 등에 관한 미시데이터를 생산합니다.

국내 전체 박사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표본조사로서, 박사인력의 구성, 교육, 일자리, 성과, 국제이동 등에 관한 미시데이터를 생산합니다.

조사배경

  • 박사급 전문인력에 대한 통계 인프라 확충 필요성 대두
    • 학문과 과학기술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고급 전문인력의 중요성 증대
    • 변화를 선도할 우수인력의 역량, 활동, 성과 등에 대한 자료수집과 분석이 시급하게 요청됨
  • 박사급 전문인력에 대한 표준화된 통계 구축을 위한 글로벌 노력 활발
    • OECD/Eurostat CDH(Careers and Mobility of Doctorate Holders) 프로젝트 추진

조사목적

  • 「통계법」 제18조에 의한 국가승인 일반통계(제395002호)
  • 「국가과학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지원특별법」 제7조(이공계인력에 대한 실태조사)

조사근거

  • 국내 박사인력의 구성, 교육, 고용, 경력, 연구 활동과 성과, 국제이동, 해외협력 등에 대한 체계적인 데이터 확보
  • 국내 박사인력에 대한 대표성과 신뢰도를 갖춘 통계 데이터를 생산함으로써 고급 인력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

조사연혁

조사연혁 목록으로, 년월, 내용으로 구성됨
년 월 내용
2023년 「2021 박사인력활동조사」 실시
2017년 「2016 박사인력활동조사」실시
2013년 「2012 박사인력활동조사」 실시
2013년 승인변경을 통해 「박사인력활동조사」로 명칭 변경
2011년 「박사인력의 경력과 이동성조사」 실시
2011년 「박사인력의 경력과 이동성조사」 국가승인통계 지정(승인번호: 395002호)

적용분류체계

  • 교육부문 : 한국표준교육분류(통계청)
  • 직업부문 : 한국표준직업분류(통계청)
  • 기술부문 :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진

조사설계 및 결과

조사설계 및 결과 목록으로, 구분, 내용으로 구성됨
구분 내용
조사대상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만 15세 이상 내국인 박사학위소지자
조사방법 가구방문조사, 온라인조사, 전화조사 병행
작성주기 5년
기준시점 2021년 12월 말
조사기간 2023년 1월 16일 ~ 2023년 3월 16일
모집단 및 표본추출틀
  • 목표모집단 :조사 기준시점에서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만 15세 이상 내국인 박사학위소지자
  • 조사모집단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중 만 15세 이상 내국인 박사학위취득자가 거주하는 가구
  • 표본추출틀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표본조사」 결과 중 만 15세 이상 내국인 박사학위취득자가 거주하는 가구 명부
표본규모
  • 표본규모 :5,000명
  • 층화 : 전공, 연령
  • 분류지표 :시도, 성별
  • 표본배분 :(1차 배분) 변형비례배분(전공별 표본수를 50가구 우선할당 후 전공별 가구수에 비례하여 배분)
    (2차 배분) 전공별로 배분된 표본수를 전공별 연령대 가구수의 제곱근을 이용하여 제곱근비례배분
표본추출 층화계통추출
- 층(전공, 연령대) 내 박사학위자를 시도, 성별로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계통추출
목표허용오차 주요 변수 상대표준오차(CV) 평균 1.1% 이내
  • KCDH 2012 기준
  • KCDH 2010은 파일럿 조사로서, 공식 라운드 제외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