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힘

STEPI, ‘AI 시대 인재정책’ 공동 모색의 장 마련

작성일2025.07.03 조회수2,107

STEPI, ‘AI 시대 인재정책’ 공동 모색의 장 마련

- AI 시대 인재정책, 무엇을 바꿔야 하나...STEPI·KRIVET 두 정책연구기관 머리 맞대 -

- 7월 10일(목), 「제464회 STEPI 과학기술정책포럼」 개최 -


□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하 STEPI, 원장 윤지웅)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하 KRIVET, 원장 고혜원)과 함께 오는 7월 10일(목) 오후 2시,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AI 시대, 인재의 조건과 정책을 다시 묻다”란 주제로 「제464회 STEPI 과학기술정책포럼」을 개최한다.


 ○ 고혜원 한국직업능력연구원장의 개회사와 윤지웅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의 환영사, 강민국 국회의원(국회 정무위원회), 신동천 이사장(경제·인문사회연구회), 류석현 원장(한국기계연구원)의 축사로 시작되는 이번 포럼은 AI 기술의 급속한 확산과 산업·노동 환경의 전환 속에서,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상의 변화와 이에 부응하는 정책의 방향을 점검하고 재설계하기 위해 마련됐다.


□ 동 포럼에서는 42MARU 김동환 대표가 ‘생성형 AI 시대, 생존의 조건’이란 제목의 기조강연을 통해 생성형 AI 시대의 급속한 기술 변화 속에서 개인과 조직이 생존하기 위해 요구되는 새로운 인재 역량과 정책적 대응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 이와 함께, 신기윤 부연구위원(STEPI)이 ‘인공지능 기반 제조업 혁신과 인력 수요변화’를, 김상호 센터장(KRIVET)이 ‘NCS 기반 직무별 AI 영향도 및 변화전망’을, 이윤진 부연구위원(KRIVET)이 ‘인적자원개발의 기회와 우려, 그리고 과제:AI 활용 경험자의 인식을 중심으로’를, 


  - 마지막으로 홍성민 선임연구위원(STEPI)이 ‘AI 시대 인재상과 대응 전략: 과학기술인력 수요 변화를 중심으로’란 제목으로 각각 발제하여 기술과 정책, 산업 현장과 교육훈련 시스템 전반에 걸쳐 AI 시대 인재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을 총체적으로 조망한다.


□ 금득규 교수(유한대)가 좌장을 맡아 진행되는 종합토론에서는 강상욱 국장(과기정통부), 임영미 국장(고용노동부), 노용식 부장(경제·인문사회연구회), 김동규 연구위원(한국고용정보원), 윤소겸 박사(SK텔레콤), 한유진 교수(숙명여대)가 참여하여 기술·직무 변화에 적응 가능한 인재 육성을 위한 정책적 대응 전략을 논의할 예정이다.


□ 윤지웅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은 “AI 기술의 발전은 산업구조와 직무환경은 물론, 인재의 정의와 정책의 방향까지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라면서 “이러한 전환기 속에서 우리가 어떤 인재를 길러야 하며, 그에 걸맞은 정책은 무엇인지 함께 성찰해야 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 한편, 「제464회 STEPI 과학기술정책포럼」과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누리집(http://www.stepi.re.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문의) 044-287-2046.

STEPI, ‘국가 성장동력 정책’.. 새로운 방향 정립 필요 목록 STEPI, 제4차 개발재원총회(FfD4)에서 개발도상국 STI 역량강화를 위한 국제협력 사례 공유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