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힘

STEPI, “글로벌 불확실성에 대비한 전략산업 조기경보시스템(EWS) 개선해야..”

작성일2025.04.24 조회수2,279

STEPI, “글로벌 불확실성에 대비한 전략산업 조기경보시스템(EWS) 개선해야..”

- 중국, ‘25년 정부 업무보고서 통해 ‘디지털 중국’을 향한 STI 안보체계화 제안 -

- 김선엽 부연구위원 “글로벌 외부위험 충격에 대비한 국가 STI 재정관리 계획 방향 재정비 필요” -

- STEPI, 「과학기술정책 Brief」 Vol.46 발간 -


□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하 STEPI, 원장 윤지웅)은 지난 3월 11일 폐회된 「중국 2025년 전국 양회」에서 제시된 중국 STI 기반의 국가발전전략 및 글로벌 쟁점 등의 분석에 기반하여 글로벌 불확실성 대비를 위한 한국의 시사점을 담은 「과학기술정책 Brief」 Vol.46호를 발간함


□ 중국 2025년 전국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과학기술혁신(이하 STI) 성과, 위협 및 목표 


 ○ 중국 제14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제3차 회의에 제출된 ‘2025년 정부 업무보고서’는 ① 2024년 업무 검토 ② 2025년 경제사회발전을 위한 전반적 요구사항 및 정책방향 ③ 2025년 정부 업무과제 등으로 구성


 ○ (2024년 업무 검토) 중국의 경제력과 과학기술력 증강에 힘입어 중국식 현대화가 일보 진전, 외부환경의 악화 속에서도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에 주력 


  - ▲GDP성장률: 당초목표치인 5%에 달함 ▲첨단제조업ㆍ장비제조업 부가가치: 각각 8.9%, 7.7% 증가 ▲신에너지 자동차: 연간 생산량 1,300만 대 돌파 ▲기술 계약 거래량: 12.2% 증가


  - ▲‘창어 6호’ 1,953.3그램 달 뒷면 샘플 채취 ▲해양 굴착선 ‘드림’ 제작·운행 등 집적회로, AI, 양자 등에서 새로운 성과 달성


  - ‘일대일로’중심의 국제공동 건설 및 투자협력 확대, 외국인 투자 진입 제한 해제 


 ○ 트럼프 2.0기 출범 등 외부환경 변화가 중국 STI 고도화 추동


  - 美 언론은 중국의 내수진작에 대한 요구를 ‘24년도 대비 높아졌지만, 트럼프의 기후변화 정책기조에 따라 환경보호에 대한 정책적 관심은 높아지지 않은 것으로 분석


 ○ STI 기반 국가발전 vs 탄소감축 의지?, 산업구조 현대화를 통한 ‘디지털 중국(数字中国)’ 건설에 정책적 초점이 쏠림 


  - (2025년 업무 보고서) ① 기술 응용 및 제고를 위한 제조업 투자 9.2% 확대 ② 디지털 경제 핵심 산업 부가가치의 GDP 대비 10% 비중 달성 목표를 천명


□ 2025년 경제사회발전을 위한 전반적 요구사항 및 정책방향: 국가 재정관리 최적화


 ○ 중앙-지방 연계의 과학적 재정 거버넌스 체제혁신을 통한 국가경제사회 발전 지원 촉진


  - 통화정책 도구 최적화ㆍ혁신을 통해 STI, 녹색발전 및 민영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지역 통합 성과메커니즘을 개선 전망


□ 2025년 정부 업무 과제: ‘디지털 중국’ 기치 아래 핵심기술 개발-보안 선순환 구축


 ○ 중국의 과학기술 자립 촉진 및 글로벌 공급망 우위 확보를 위해 R&D-인재양성을 통합추진


 ○ 중국 정부 업무보고서에 6G 기술이 처음으로 언급, ‘인공지능+’ 조치 재등장에 주목


  - 6G가 처음으로 미래산업 육성 핵심 틀에 포함되어 바이오제조, 양자기술 등과 함께 중요 전략기술 선정되고 중소기업-‘인공지능+’를 연계하여 미래산업 육성 목표로 ‘인공지능+’ 조치를 전개 전망


 ○ 대외개방 및 조기경보시스템(이하 EWS) 구축 통한 글로벌 공급망 관리 및 국가안보체계 개선



□ 시사점


 ○ 6G 상용화 및 표준화를 둘러싼 글로벌 각축전에 대비하여 다변화된 과기외교 전략 수립


  - (쟁점) 한국은 3GPP(세계 이동통신 기술 표준 단체) 프로젝트를 통해 중국, 유럽, 미국, 일본, 인도 등과 함께 6G 글로벌 표준 개발에 적극 참여 


  - (대안) 유사입장국(like-minded countries)과의 ‘가치’ 기반 과기외교를 견지하면서도 ‘실리’ 확보 및 디리스킹(de-risking) 전략구사 측면에서는 비동맹과의 기술교류도 재고 필요


 ○ 경제안보ㆍ공급망 위기를 초래할 만한 전략산업 위험에 대한 ‘사전 조사-시정-예방’ 절차 점검


  - (쟁점) 한국은 경제안보품목에 대한 EWS을 운영하고 있으나, 시계열 요인이 고려되지 않아 오작동 발생


  - (대안) 부처별 기술적(Technical)ㆍ정책적(Political) 정보수집을 강화 및 한미일 3국 간 핵심ㆍ신흥기술 EWS 연계 강화 등 기술정보 공유 노력 필요


○ 외부위험 충격에 대비한 국가 STI 재정관리 계획 방향 재정비 필요


□ 김선엽 부연구위원은 “보호무역주의 심화와 관세 장벽으로 다자간 무역 체계가 붕괴되는 글로벌 외부환경 변화가 중국 STI 고도화를 추동했다”라며 ‘2025년 전국 양회’를 통해 제안된 ’디지털 중국‘을 향한 중국 STI 안보체계화 배경을 전했다.


 ○ 특히 “중국은 전략산업 공급망 모니터링, 위험평가 및 조기경보 기능을 강화하고, 글로벌 정보공유체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글로벌공급망 관리 및 STI 기반 전략산업 국가안보체계를 개선을 추진 중이다”라고 밝히면서, “한국도 6G 과기외교방향 재점검, 전략산업 공급망 EWS 개선, 과기예산 운용 최적화로 글로벌 불확실성에 대비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STEPI, “국내 AI 반도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상용화 연계 R&D 강화해야..” 목록 STEPI, “혁신성장과 기후변화 대응의 균형을 위해 NBI 기반 R&D 도입해야..”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