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힘

공공부문 산업데이터의 혁신, 리빙랩을 활용해야....

작성일2023.12.20 조회수2,913

공공부문 산업데이터의 혁신, 리빙랩을 활용해야....

-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리빙랩 기반의 산업혁신 전략 논의 - 

-  20일(수), 「공공부문 산업데이터 활용 리빙랩 전문가 포럼」 성료 -


□ 공공부문 산업데이터를 활용하여 우리사회의 도전과제를 해결하고 산업혁신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리빙랩 방법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하 과기정책연(STEPI), 원장 문미옥)은 지난 12월 20일(수) 오후 2시부터 대전 오노마 호텔 컨퍼런스룸에서 “공공부문 산업데이터 기반 문제해결 및 가치 창출을 위한 리빙랩 활용 전략”이란 주제로「공공부문 산업데이터를 활용한 리빙랩 전문가 포럼」을 개최했다.


 ○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과기정책연, 한국기계산업진흥회, 한국리빙랩네트워크,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 주관한 이번 포럼에서는, 공공부분 산업데이터의 활용사례를 공유하고 데이터 기반의 산업혁신을 위해 리빙랩의 적용 가능성 등을 논의했다.


□ 첫 발제를 맡은 성지은 선임연구위원(과기정책연)은 ‘데이터 기반의 산업혁신 고도화를 위한 리빙랩 적용 가능성 탐색’이란 제목으로 공급자 중심의 데이터 수집·제공에 그치고 있는 문제 상황을 지적하며 사용자 및 시민이 전문가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창조형 데이터 수집·관리·활용 전략을 제시했다. 


 ○ 특히, 데이터 기반의 산업혁신 고도화를 위해서는 해결해야할 문제설정부터 데이터셋 구성, 모델개발 및 적용, 평가에 이르기까지 사용자·시민들이 함께하는 개방형·공동창조형 혁신 모델인 리빙랩 방법론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 두 번째 발제자인 김홍중 실장(한국기계산업진흥회)은 ‘공공부문 산업 데이터 통합 및 활용을 통한 문제해결 및 부가가치 창출전략’이란 주제로 공공부문 산업데이터를 활용한 활성화하기 위한 리빙랩 기반 가치 창출전략을 제시했다. 


 ○ 이와 함께 공공부문 산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리빙랩을 활용하는 전략은 새로운 산업혁신 모델이 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 마지막으로 권석원 연구위원(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지역문제해결 사례’라는 주제로 공공데이터 기반 문제해결사례를 소개하며 민관협력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전했다.


 ○ 특히, 공공데이터는 우리시대의 전기와 같아서 국가와 기업, 시민사회가 다양하게 활용하고 사용할 수 있음을 강조하면서 상시적인 민관협력 기반을 조성하고 양질의 데이터를 제공해야하는 정부의 역할과, 


  - 데이터에 대한 역량강화 활동을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정책개발과 제도개선을 위한 시민사회의 역할을 소개했다. 


□ 송위진 정책위원장(한국리빙랩네트워크)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 패널토론에는 김미영 대표(한국1형당뇨병환우회), 윤혜진 대표((주)유예지), 서진숙 팀장(한국산업지능화협회), 임홍순 대표(사이트큐빅), 정정식 사무관(산업통상자원부)이 참여해 공공부문 산업데이터 기반 문제해결 및 가치창출을 위한 리빙랩 활용 방안을 논의했다.


□ 한편, 『공공부문 산업데이터를 활용한 리빙랩 전문가 포럼』은 데이터 기반의 포용적 혁신 및 산업혁신을 고도화하기 위해 2023년 12월에 발족됐다.


 ○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민-산-학-연-관이 함께 만들고 서로 연계·협력해 나가는 리빙랩 플랫폼 구축과 지속가능한 시스템 전환을 위한 실험의 공유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소기업 지원 R&D, ‘성장·육성 VS 생태계 확대’ 투트랙으로 접근해야.... 목록 R&D 조세제도, 기술별 맞춤형 조세제도 도입해야...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