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힘

과기정책연, 아제르바이잔에 기술사업화 생태계 구축 노하우 전수

작성일2023.11.06 조회수2,037

과기정책연, 아제르바이잔에 기술사업화 생태계 구축 노하우 전수

- 2023년 아제르바이잔 국제기술혁신협력사업 성과확산포럼 성료-


□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하 과기정책연(STEPI), 원장 문미옥)은 지난 10월 25일(목), 아제르바이잔 국립과학원에서 「2023년도 국제기술혁신협력사업 (K-Innovation Partnership Program)」 일환으로 아제르바이잔 기술사업화 정책자문의 2023년도 성과를 점검하는 성과확산포럼을 개최했다.


 ○ 아제르바이잔 현지 기술사업화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이번 포럼에서는 기술사업화 및 기술창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서울과학기술대, 서울대,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등 한국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한국의 기술사업화 경험 공유와 함께 토론이 진행됐다.


 □ 첫 발제를 맡은 손수정 선임연구위원(과기정책연)은 ‘혁신생태계와 정부 역할’이란 주제로 국가의 혁신환경에 부합하는 사업화 정책 거버넌스 조성의 필요성을 위해 한국의 사례를 소개했다.


 ○ 특히, 한국은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해 다학제 연계 및 다양한 혁신재원, 그리고 지원 정책을 설계·투입하고 있다고 전하며, 아제르바이잔 역시 혁신 거버넌스 내에서 기술사업화 정책의 틀을 설계해야 함을 강조했다. 

□ 심경수 교수(서울과기술대)는 한국의 대표적인 기술창업 프로그램인 ‘한국형 I-Corps 프로그램’을 주제로 운영 프로세스와 성과 등 한국 대학과 연구소가 지닌 공공기술이 사업화가 되는 과정을 설명했다. 


 ○ 이와 함께 2024년도에 아제르바이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운영 예정인 기술창업 교수자 교육훈련프로그램을 소개했다. 


□ 심영택 교수(서울대)는 ‘특허와 지식재산권’을 주제로 한국의 특허청과 발명진흥회의 역할을 소개하며 국가의 혁신도 법적으로 보호하고 사업화하는 생태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이와 함께 아제르바이잔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관할하는 첨단기술단지(HTP)에서 고등교육과 학부의 혁신 정책수립 지원의 중요성도 전했다.


□ 마지막으로 황윤성 경영기획본부장(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은 ‘아제르바이잔 첨단기술단지의 기술사업화 및 창업지원프로그램 방안’이란 제목으로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의 창업지원 성과와 지원사업 운영 노하우를 공유했다.


 ○ 특히, 스타트업들의 성장단계 및 핵심 미션별 지원 전략과 2023년 개최한 SIW(Startup Korea Investment Week)를 소개하며, 향후 SIW와 연계한 아제르바이잔과의 글로벌 협력 방안도 제안했다.


 □ 한편,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아제르바이잔 기술사업화 정책자문의 2023년도 주요 성과 중 하나로 공공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 뿐 아니라 아제르바이잔 최초 기술사업화 플랫폼(TTCP)의 운영 고도화를 위해 한국의 델타텍코리아와 오픈이노베이션 워크숍 개최 등 주요 민관 주체들과의 협력트워크 지원도 추진했다. 

발전국가 이후의 한국 과학기술, 新국가 비전 시급하다 목록 국가난제 해결?...국가적 임무프로그램 왜 안보이나!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