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힘

합성생물학, ‘보호’&‘협력’ 이원화 전략으로 추진해야..

작성일2023.10.25 조회수2,194

합성생물학, ‘보호’&‘협력’ 이원화 전략으로 추진해야....

- 국내 합성생물학 발전, 전략기술의 안보화 관점과 산업생태계 확대 관점으로 운영 중요 -

- 10월 24일(화), 「제454회 과학기술정책포럼」 성료 -


□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이 가능한 플랫폼 기술인 '합성생물학'의 국내 발전에 있어 “보호 일변도의 전략은 해답이 될 수 없다”는 주장이 나왔다.


□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하 과기정책연(STEPI), 원장 문미옥)은 지난 10월 24일(화) 오후 2시부터 “하나의 길, 두 가지 조건: 합성생물학 기반 혁신전략의 모색”을 주제로 「제454회 STEPI 과학기술정책포럼」을 온·오프라인 병행으로 개최했다.


 ○ 이번 포럼은 바이오 기술패권의 핵심기술로 부상한 ‘합성생물학’의 국가 발전을 도모하고자 국제질서 변화 분석 등을 통한 다변화 성장전략을 모색했다.


□ 문미옥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의 개회사를 통해 “바이오헬스는 거의 모든 국가가 다음 성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합성생물학’에 주목하고 적극적인 투자 전략수립 등 주요정책을 공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다”라면서 “기술패권경쟁과 기술안보라는 큰 패러다임에서 바이오헬스분야의 국제질서를 분석하여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 이와 함께 문 원장은 “오늘 포럼을 통해 국내외 합성생물학의 현황진단과 혁신정책, 국제관계를 논의하고 한국이 바이오로 전략성장을 이루어가는 방안이 제안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본격적으로 진행된 포럼의 첫 발제를 맡은 조원선 부연구위원(과기정책연)은 “합성생물학 기반 혁신전략의 모색: 바이오 파운드리의 안보화와 국제화 전략”이란 제목으로 주요국의 합성생물학 안보전략 분석 및 유형을 소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략적 국제화와 안보화 접근법을 통한 한국의 국가 전략 및 책략(statecraft)을 제시했다.


 ○ 특히, 조원선 부연구위원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첨단기술과 공급망에 대한 미중 간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바이오 분야 글로벌 공급망도 타격을 받는다”라며 합성생물학 분야는 단순한 연구와 산업이 아닌 국가안보의 대상임을 전했다.


  - 또한, 글로벌 바이오 공급망에서 형성된 비대칭 상호의존 구조와 첨단 바이오 산업의 특징을 기반으로 국가들의 안보화 과정을 분석하여 과잉안보화를 지양해야 함을 전하며, 전략적 국제화를 위해 바이오 파운드리 및 연계기술을 통한 산업생태계 보호와 국제규범 및 표준에서 국제협력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 정일영 미래혁신전략연구본부장(과기정책연)이 “한국 합성생물학 산업생태계 형성을 위한 이중전략”이란 주제로 합성생물학 경쟁력 진단을 위한 6대 기술* 분석을 소개하며 ‘기술안보(보호)’ 일변도의 전략보다는 산업생태계 형성을 고려한 다변화된 전략의 방향성을 주장했다. 


    * 합성생물학 6대기술 : DNA-RNA 디자인, 단백질설계, 대사경로설계-제어, 미생물기반화학소재, 동물세포기반백신-치료제, 식물세포기반대체식품


 ○ 특히, 정일영 본부장은 합성생물학 주요 기술별 분석을 통해 기술별 차별화된 세부전략은 전략기술의 안보화 관점과 산업생태계 확대 관점의 이중 전략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 이와 함께, 국내 합성생물학 산업생태계 형성 및 발전을 위해 합성생물학 기술 고도화 뿐만 아니라 ▲인접기술과의 융합 및 다학제 연구 촉진 ▲민간기업과의 협업 ▲ 적극적인 스타트업 지원 정책 ▲사회적 수용성 고도화를 위한 능동적 전략 수립 ▲정책 추진주체의 다양성 등을 전략으로 제시했다.  


□ 이명화 연구위원(과기정책연)이 좌장을 맡아 진행되는 패널토론에서는 김선원 교수(경상국립대), 김재하 부사장(바이오니아), 김현수 팀장(생명연), 유정민 부연구위원(과기정책연), 윤혜선 교수(한양대), 이대희 센터장(생명연), 임현규 교수(인하대)가 참여하여 바이오생태계 프레임워크를 진단하고 고도화할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인도-태평양에서 STI·개발협력 연계방안을 논하다 목록 과기정책연, 「2023 국가난제 EYE」 이슈카드 발행...국가난제 5문 5답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