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힘

사회적 도전과제에 대응하는 ‘현장기반 문제해결 플랫폼’으로서 리빙랩 활용해야

작성일2023.04.27 조회수2,333

사회적 도전과제에 대응하는 ‘현장기반 문제해결 플랫폼’으로서 리빙랩 활용해야

- 과기정책연, 「제29차 한국 리빙랩 네트워크 포럼」 성료 -


□ 민·산·학·연·관이 협력하는 개방형 혁신모델인 리빙랩이 사회적 도전과제에 대응하는 ‘현장기반 문제해결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하 과기정책연(STEPI), 원장 문미옥)은 지난 4월 26일(수), 오후 2시부터 서울 동자아트홀에서 “리빙랩 교육을 어떻게 고도화 것인가”란 주제로「제29차 한국 리빙랩 네트워크 포럼」을 온·오프라인 병행으로 개최했다.


○ 이번 포럼은 전주대, 한양대 LINC3.0사업단, ㈜한국에자이, ㈜더조아진, 협동조합 세상을 디자인하는 사람들이 주최했으며, 과기정책연, 한국리빙랩네트워크, 대학리빙랩네트워크, 돌봄리빙랩네트워크가 주관하여 주체별로 진행되고 있는 리빙랩 교육 프로그램의 성과와 과제를 논의했다.


 □ 첫 번째 발제를 맡은 한동숭 회장(대학리빙랩네트워크)은 ‘대학 리빙랩 교육 현황과 과제’란 제목으로 대학 리빙랩 교육의 성과와 과제를 다루면서 현장기반 문제해결형 교육·연구 프로그램으로서 리빙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특히, 한 회장은 전주대 리빙랩 교육·연구 현황을 예시하며 지역대학이 리빙랩에 기반한 ▲지역문제 해결형 인재양성 시스템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초학제통합연구센터를 구축·운영함으로써 지역문제해결 플랫폼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두 번째 발제자인 강혜영 교육연수팀장(세종연구소)은 ‘공무원 대상의 리빙랩(폴리시랩) 교육 현황과 과제’란 주제로 리빙랩을 통한 공공혁신 마인드 함양방안을 제시했다. 


 ○ 강 팀장은 세종국가전략연수과정 교과과정 일환으로 진행되는 폴리시랩 연계 분임활동 사례를 소개하면서 현장에 기반한 공공문제해결 방법론으로서 리빙랩의 역할을 강조했다. 


 ○ 이와 함께 ‘민·산·학·연·관 주체들이 협업하는 열린 정책을 구현하는 공공혁신 모델’로도 리빙랩이 활용될 수 있음을 주장했다.


□ 세 번째 발제자인 박선민 이사장(협동조합 세상을 디자인하는 사람들)은 ‘리빙랩 기반 시민역량 강화 교육의 현황과 과제’란 주제로 리빙랩 기반 시민교육 사례를 통해 시민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 특히 리빙랩은 시민의 문제발굴과 해결 역량, 협업 역량, 자율적 혁신역량, 과학기술 연계 활용 역량을 강화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리빙랩 기반 시민교육 생태계의 활성화를 강조했다.


□ 마지막으로 서정주 이사((주)한국에자이 기업사회혁신)는 ‘기업의 사회혁신프로그램으로서 리빙랩 교육과 과제’란 제목으로 기업의 사회문제 해결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 서 이사는 한국에자이가 추진하는 리빙랩 기반 사회혁신가 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하면서 리빙랩이 기업이 시민사회와 함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플랫폼이 될 수 있다고 소개했다.


□ 송위진 정책위원장(한국리빙랩네트워크)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 패널토론에는 성지은 선임연구위원(과기정책연), 성태현 교수(한양대 전기생체공학부), 손호준 부교수(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조아진 대표((주)더조아진)가 참여하여 리빙랩의 사회적 임팩트를 향상시키기 위한 리빙랩 교육 고도화 전략을 논의했다.


□ 한편, 「한국 리빙랩 네트워크」는 리빙랩 주체들 간의 연계·협력을 위해 2017년 3월에 발족되었으며, 과기정책연이 참여하여 리빙랩 운영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교류를 다지는 것을 목표로 격월별 포럼을 계속 진행해오고 있다. 

증거기반의 산업ㆍ과기 혁신정책 지원 강화를 위한 데이터 지속 축적 및 연계ㆍ협력 필요 목록 국가연구개발 중장기 투자전략에 ‘과학기술국제협력’ 명시해야...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