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알림
사회적 도전과제에 대응하는 ‘현장기반 문제해결 플랫폼’으로서 리빙랩 활용해야
작성일2023.04.27 조회수2,333
사회적 도전과제에 대응하는 ‘현장기반 문제해결 플랫폼’으로서 리빙랩 활용해야
- 과기정책연, 「제29차 한국 리빙랩 네트워크 포럼」 성료 -
□ 민·산·학·연·관이 협력하는 개방형 혁신모델인 리빙랩이 사회적 도전과제에 대응하는 ‘현장기반 문제해결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하 과기정책연(STEPI), 원장 문미옥)은 지난 4월 26일(수), 오후 2시부터 서울 동자아트홀에서 “리빙랩 교육을 어떻게 고도화 것인가”란 주제로「제29차 한국 리빙랩 네트워크 포럼」을 온·오프라인 병행으로 개최했다.
○ 이번 포럼은 전주대, 한양대 LINC3.0사업단, ㈜한국에자이, ㈜더조아진, 협동조합 세상을 디자인하는 사람들이 주최했으며, 과기정책연, 한국리빙랩네트워크, 대학리빙랩네트워크, 돌봄리빙랩네트워크가 주관하여 주체별로 진행되고 있는 리빙랩 교육 프로그램의 성과와 과제를 논의했다.
□ 첫 번째 발제를 맡은 한동숭 회장(대학리빙랩네트워크)은 ‘대학 리빙랩 교육 현황과 과제’란 제목으로 대학 리빙랩 교육의 성과와 과제를 다루면서 현장기반 문제해결형 교육·연구 프로그램으로서 리빙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특히, 한 회장은 전주대 리빙랩 교육·연구 현황을 예시하며 지역대학이 리빙랩에 기반한 ▲지역문제 해결형 인재양성 시스템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초학제통합연구센터를 구축·운영함으로써 지역문제해결 플랫폼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두 번째 발제자인 강혜영 교육연수팀장(세종연구소)은 ‘공무원 대상의 리빙랩(폴리시랩) 교육 현황과 과제’란 주제로 리빙랩을 통한 공공혁신 마인드 함양방안을 제시했다.
○ 강 팀장은 세종국가전략연수과정 교과과정 일환으로 진행되는 폴리시랩 연계 분임활동 사례를 소개하면서 현장에 기반한 공공문제해결 방법론으로서 리빙랩의 역할을 강조했다.
○ 이와 함께 ‘민·산·학·연·관 주체들이 협업하는 열린 정책을 구현하는 공공혁신 모델’로도 리빙랩이 활용될 수 있음을 주장했다.
□ 세 번째 발제자인 박선민 이사장(협동조합 세상을 디자인하는 사람들)은 ‘리빙랩 기반 시민역량 강화 교육의 현황과 과제’란 주제로 리빙랩 기반 시민교육 사례를 통해 시민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 특히 리빙랩은 시민의 문제발굴과 해결 역량, 협업 역량, 자율적 혁신역량, 과학기술 연계 활용 역량을 강화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리빙랩 기반 시민교육 생태계의 활성화를 강조했다.
□ 마지막으로 서정주 이사((주)한국에자이 기업사회혁신)는 ‘기업의 사회혁신프로그램으로서 리빙랩 교육과 과제’란 제목으로 기업의 사회문제 해결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 서 이사는 한국에자이가 추진하는 리빙랩 기반 사회혁신가 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하면서 리빙랩이 기업이 시민사회와 함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플랫폼이 될 수 있다고 소개했다.
□ 송위진 정책위원장(한국리빙랩네트워크)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 패널토론에는 성지은 선임연구위원(과기정책연), 성태현 교수(한양대 전기생체공학부), 손호준 부교수(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조아진 대표((주)더조아진)가 참여하여 리빙랩의 사회적 임팩트를 향상시키기 위한 리빙랩 교육 고도화 전략을 논의했다.
□ 한편, 「한국 리빙랩 네트워크」는 리빙랩 주체들 간의 연계·협력을 위해 2017년 3월에 발족되었으며, 과기정책연이 참여하여 리빙랩 운영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교류를 다지는 것을 목표로 격월별 포럼을 계속 진행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