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힘

과기정책연, 국내 기업혁신 현황 진단과 정책 방향 모색의 장 마련

작성일2023.04.21 조회수2,443

과기정책연, 국내 기업혁신 현황 진단과 정책 방향 모색의 장 마련

- 4월 25일(화), 「산업ㆍ과기 혁신정책 포럼」 온ㆍ오프라인 병행 개최 -


□ 산업 및 과학기술 혁신 관련 주요 국가승인통계 데이터 기반으로 한국 기업의 혁신 현황과 특성을 진단하고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논의의 장이 마련된다.


□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하 과기정책연(STEPI), 원장 문미옥)은 산업연구원(이하 산업연(KIET), 원장 주현)과 함께 오는 4월 25일(화) 오후 2시, 세종 베스트웨스턴 호텔 4층 그랜드홀에서 「산업ㆍ과기 혁신정책 포럼」을 온·오프라인 병행으로 개최한다.


 ○ “통계로 바라본 한국 기업의 혁신 현황 진단과 정책 방향 모색”을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포럼은 ‘한국기업혁신조사(과기정책연 주관)’와 ‘지식서비스산업실태조사(산업연 주관)’ 등 국가승인통계 주요 결과와 시사점을 공유하고, 이를 기반으로 산업·과기 혁신 활성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 주현 산업연구원장의 개회사와 문미옥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의 환영사, 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 정해구 이사장의 축사로 시작되는 이번 포럼은, 먼저 유호석 실장(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이 ‘국내외 최신 혁신환경 고찰 및 정책방향’이란 주제로 거시적인 혁신환경의 변화 흐름과 주요 혁신사례 및 이에 대한 정책방향을 소개한다. 


 ○ 이어서 ‘한국 기업혁신 특성 및 정책점 시사점’이란 제목으로 이정우 연구위원(과기정책연)이 ‘한국기업혁신조사(KIS: Korean Innovation Survey)’ 주요 결과와 심층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국내 기업혁신 현황과 특성을 진단하고, 혁신 수요 측면에서의 정책적 시사점과 향후과제를 제시할 예정이다.


 ○ 마지막으로 이상현 실장(산업연)은 ‘국내 지식서비스산업의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이란 주제로 ‘지식서비스산업실태조사’ 주요 결과와 함께 혁신의 공급 측면에서의 산업 혁신생태계 정책방향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 이덕희 대학원장(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이 좌장을 맡아 진행되는 패널토론에서는 임채성 교수(건국대), 이혜진 소장(한국생산기술연구원), 김은정 센터장(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김용환 부장(한국통계진흥원)이 참여하여 국가승인통계를 활용한 증거기반의 산업ㆍ과기 혁신 활성화 정책방향 등을 논의한다.


□ 문미옥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은 “증거기반 산업ㆍ과기 혁신정책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지원하기 위해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축적 및 관리가 필요하다”라며 “이번 포럼을 기점으로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어 관련 데이터 연계와 협력이 활성화되고 정책방향 수립에 더욱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한편, 이번 「산업ㆍ과기 혁신정책 포럼」은 사전등록을 통한 현장 참석과 더불어, 공동 주최 기관의 공식 유튜브 채널(@STEPITV, @KIET)을 통해 누구나 시청 가능하다.


 ○ 이번 포럼과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과기정책연(STEPI) 홈페이지(http://www.stepi.re.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문의) 044-287-2186

‘남북 그린데탕트’ 실현, 남북 과학기술 협력을 통해 풀어가야.. 목록 증거기반의 산업ㆍ과기 혁신정책 지원 강화를 위한 데이터 지속 축적 및 연계ㆍ협력 필요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