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힘

문미옥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 2023년 신년사

작성일2023.01.02 조회수2,662

문미옥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 2023년 신년사


□ 문미옥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은 2023년 신년사에서 COVID-19의 긴 터널을 지나왔지만, 기후위기, 인구, 양극화, 재난 등 국가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난제가 존재하기에 복잡한 어려움이 기다리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 이와 함께 하나의 큰 시장으로 움직였던 글로벌 경제체제가 분절로 인해 합종연횡을 이루는 시기의 돌입과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식량문제, 인플레이션과 이자율까지 다양한 문제가 한꺼번에 등장한 ‘문제 다극화(Multi-polarity)의 시대’가 도래했다고 말했습니다.

□ ‘문제 다극화(Multi-polarity)의 시대’에 따른 어려움을 극복하고 재도약의 기회를 잡기위해 2023년 과기정책연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연구 및 경영 키워드를 제시했습니다.

 ○ 첫째, 국가전략성을 담은 새로운 혁신체제의 준비입니다. 현재 우리를 둘러싼 기술패권경쟁, 기후변화 등 변화하는 세계질서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전략성을 반영한 새로운 국가혁신체제로의 전환의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

 ○ 둘째,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혁신성장을 넘어 전략성장의 길 제시입니다. 국가경쟁력은 인구와 생산성의 함수로 정의되기에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단기술 기반 고부가가치 신산업을 촉진해야 하며

   - 그 첫걸음은 혁신인재 확보와 정부와 민간의 임무를 명확히 정의하고 체계적으로 이행할 수 있는 기반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셋째, 경쟁의 진짜 전략은 협력입니다. 과학강국의 위치에 있는 국가들은 높은 수준의 역량을 갖추었음에도 협력을 지렛대로 삼아 전 세계 우수한 지식자산을 각국의 역량으로 활용하고 있기에

   - 연구개발투자를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한 협력과 연대 강화의 노력을 주문했습니다.

□ 기관경영과 관련해서는 공공의 이익과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ESG 경영의 적극 실천 다짐과 함께, 지난 35년간 과학기술정책을 연구한 역사임을 강조하며 2023년에도 국가와 사회가 자랑스러워하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되는 한해가 되기를 기원했습니다.

과기정책연, 「과학기술정책 Brief Vol.2」 발간 목록 과기정책연, 조직 개편 및 주요 보직 인사 시행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