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탭컨텐츠
연구목적
○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과학기술 다자협력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위한 국가 차원의 진단과 준비가 부족한 바, 이를 위한 시스템 차원의 진단을 도모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임
-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인류 최대 규모의 다자기구로 성장한 유엔시스템에서 과학기술 다자협력이 이루어진 실태를 진단하고 이를 통해 코로나19와 같은 글로벌 충격에 대응해 나가는 협력 전략을 고찰함
주요내용
○ 우선 글로벌 충격과 다자협력, 유엔시스템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하여 주요 개념과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삼아 유엔시스템에서 그간 이루어진 과학기술 다자협력 실태를 조사·분석함
- 유엔시스템 차원의 개괄적 조사와 과학기술 다자협력이 활발한 주요 기구들*에 대한 사례연구 병행
* 경제사회이사회 CSTD, TFM, UN-ESCAP,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 일반적 과기협력 현황과 함께 코로나19와 같은 글로벌 충격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협력의 양상을 살펴 시사점을 도출함
○ 결론적으로 글로벌 충격에 대응하는 과학기술 다자협력을 위하여 유엔시스템에서 우리나라가 고려해야 할 주요 협력 전략을 제시함
- 또한 유엔시스템을 넘어선 과학기술 다자협력 가능성 모색을 향후 과제로 제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