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힘

원문다운로드 자료 활용 안내

모달팝업닫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자료 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용하시는 자료는 연구기관의 소중한 연구성과물로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 하단의 자료이용 동의서 및 사용목적 등에 응답 부탁드립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성과물 활용 현황 및 서비스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 이용조건 동의
  • 자료 이용 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였음을 명시할 것을 동의합니다.
  • 본 저작물을 "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것을 동의합니다.
※ 무단으로 연구성과물을 사용하였거나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시한 이용조건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 자료사용목적
  • 직업군 선택

STEPI Insight 혁신 국가, 덴마크: 덴마크 혁신생태계 특징과 시사점

요약 탭컨텐츠

덴마크 혁신생태계 분석의 필요성 및 한국의 혁신생태계의 문제점


 ● 덴마크는 단순히 복지가 발달한 북유럽 국가 중 하나가 아니라 고도로 자본집약적이며 기술중심적인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음


 ● 한국의 혁신생태계는 혁신 기업, 혁신 정책, 혁신 기관의 관점에서 한계를 내포

  - (혁신 기업) 국내 대표 플랫폼 기업 및 유니콘 기업 대다수가 내수 시장 기반

  - (혁신 정책) First-Mover로서의 선도 정책 및 미래 혁신환경 변화 대응전략 부재

  - (혁신 기관) 정부부처 간 정책 중복 및 지원기관의 혁신지원 전문성 부족


 ● 덴마크 혁신생태계 사례 분석 대상으로 노보노디스크(기업), 덴마크 국가 개혁 프로그램(정책), 이노베이션센터 덴마크(기관), Tech BBQ(컨퍼런스)를 선정하여 분석

 


덴마크 혁신생태계의 특징과 한국에의 시사점


 (1) 다양한 산업 및 브랜드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 글로벌 지향의 혁신 제품 및 서비스의 개발과 함께, 스토리와 가치, 철학을 담은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기업 성장지원 전략 마련


 (2) 국가 미래 혁신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수립 

  - 미래 국가의 정체성 및 경제성장을 위한 전략적인 산업·혁신 경쟁력 강화 방향을 수립, 하위 정책(기술·산업·기업 정책 등)의 연계·정합성 강화


 (3) 혁신기업에 대한 협력형 일관 지원 체계 구축 

  - 혁신기업 지원에 대한 정부부처 간 정책 중복성 제거 및 역할 분담 및 혁신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지원조직 간 협력 거버넌스 구축


 (4) 혁신기업 글로벌 진출을 위한 거점 구축 

  - 해외 주요 혁신생태계의 특성 및 강점에 기반한 전략적인 혁신 거점 설립·운영 방안 수립과 함께, 현지 혁신생태계 주체들과의 긴밀한 협력 관계 구축


 (5) 혁신/비즈니스 생태계의 전략적-지역적 연대의 균형 

  - 기술패권 시대, 전통적 우방과의 전략적 기술 동맹과 함께, 아시아 혁신 선도국가와의 지역적 연대를 고려한 한국의 혁신생태계 연계성 강화에도 초점


 (6) 산업/기술 분야별 혁신/기업생태계 모니터링 강화 

  - 신기술·신산업 혁신정책의 전략성 강화를 위한 혁신/기업생태계 현황 모니터링 강화와 함께, 수요 기반 맞춤형 혁신지원 정책 수립 필요


 (7) 사회적 임팩트 및 다양성을 위한 혁신 투자 확대 

  -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 및 사회적기업·소셜벤처 지원 생태계 구축과 함께, 여성, 지역, 청년 등 혁신창업 소외 계층에 대한 생태계 접근성 강화 지원


공공누리 마크 제4유형 이미지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