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힘

원문다운로드 자료 활용 안내

모달팝업닫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자료 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용하시는 자료는 연구기관의 소중한 연구성과물로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 하단의 자료이용 동의서 및 사용목적 등에 응답 부탁드립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성과물 활용 현황 및 서비스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 이용조건 동의
  • 자료 이용 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였음을 명시할 것을 동의합니다.
  • 본 저작물을 "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것을 동의합니다.
※ 무단으로 연구성과물을 사용하였거나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시한 이용조건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 자료사용목적
  • 직업군 선택

연구보고서 기술혁신 성과지표 분석 및 DB구축사업(19차년도)- DB구축사업의 고도화 방향 제안을 중심으로 -

요약 탭컨텐츠

<연구목적>

빠르게 변화하는 기업생태계에 대응하기 위해 DB사업의 역할 재정립 및 그간의 한계를 보완하여 고도화된 DB를 구축하기 위한 사업의 종합적 진단 수행

   - DB사업은 혁신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실증적 데이터를 제공하며, 국내 혁신역량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옴

   -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기업생태계의 변화로 인해 그간 구축해온 DB사업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DB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사업 방향 설정에 관한 전반적 검토가 필요


<주요내용>

증거기반 정책 특징 및 요인을 탐색하고 정부활용 차원의 다양한 사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증거기반 정책 및 DB구축 필요성 논의

국내외 과학기술혁신(STI) 조사 DB의 일반적 내용과 정책 활용 사례를 검토

그간 지속되어온 DB사업의 사업계획서와 보고서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사업의 주요 성과와 더불어 성과를 제한했던 한계들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DB 고도화 방안 수립

2023년 구축한 기업DB(연구개발비, 특허 양적정보)와 외부 수요를 반영한 특허데이터(특허 질적정보)를 결합하여 정책현안 시범분석을 수행하여, 그간의 분석의 한계점을 고찰

마지막으로, 향후 DB사업의 활용성 제고를 위해 앞서 논의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향후 DB사업의 고도화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

   - 증거기반 정책 이론 적용을 통한 DB 목적성, 다양한 DB 결합을 통한 확장성, 이해관계자 수요 반영 및 적시성 확보를 통한 DB 활용성 제고를 목표로 설정


<정책대안>

STEP1. 국가과학기술혁신체제 진단 체계 구축

   - 과학기술혁신체제 진단을 위한 체계적 접근을 통한 DB의 목적성 제고

STEP2. 메타 데이터베이스(Meta-DB) 구축 필요성

   - 기존 DB의 통합과 확장, 글로벌 데이터 연계 등을 통한 DB의 확장성 제고

STEP3. 심층적 진단 분석을 통한 중장기 정책방향 제시

   - 진단을 통한 국가 과학기술혁신체제 분석 및 질적 성과 창출과 정부 R&D 효과 제고 방안 도출


목차 탭컨텐츠
공공누리 마크 제4유형 이미지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