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힘

원문다운로드 자료 활용 안내

모달팝업닫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자료 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용하시는 자료는 연구기관의 소중한 연구성과물로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 하단의 자료이용 동의서 및 사용목적 등에 응답 부탁드립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성과물 활용 현황 및 서비스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 이용조건 동의
  • 자료 이용 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였음을 명시할 것을 동의합니다.
  • 본 저작물을 "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것을 동의합니다.
※ 무단으로 연구성과물을 사용하였거나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시한 이용조건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 자료사용목적
  • 직업군 선택

STEPI Insight 글로벌 디지털 산업 박람회 동향과 미래 산업 시사점: CES, MWC, HM, IFA 리뷰

요약 탭컨텐츠

 본 연구에서는 CES(미국 소비자 가전 박람회), MWC(스페인 바르셀로나 정보통신 전시회), HM(하노버 산업 박람회), IFA(베를린 국제 가전 박람회)의 주요 트렌드를 검토하여 미래 산업의 핵심 테마를 모색하고, 향후 기업과 정부의 대응 방향을 모색하였다. 


 주요 대상에 따라 박람회를 ①최종소비자(B2C(Business to Consumer))를 대상으로 하는 CES와 IFA, ②중간재 기업(B2B(Business to Business))을 대상으로 하는 HM, ③사회 전반의 인프라를 대상으로 하는 MWC로 구분하였다. 

 4개의 박람회에서는 디지털 초융합(트윈), 사회와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공통된 트렌드이며, 글로벌 기업과 정부의 최종적인 지향점은 메타버스와 지속가능성의 확대였다.  


 주요 대상에 따른 전시와 비전은 다음과 같다. 

 ㅇ (B2C) 소비자 가전의 범위를 확장하고 첨단 디지털 제품들을 연결하기 위한 초연결시스템과 소비자들이 주체적으로 지속가능성 향상에 참여할 수 있는 제품을 공개 

 ㅇ (B2B) 제조현장에서 첨단 장비를 연결하고 데이터를 확보하고 새로운 사업 모델을 창출하기 위한 디지털 융합 플랫폼과 산업과 사회 전반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대안을 제시

 ㅇ (디지털 인프라) 산업과 사회의 디지털 초융합의 핵심인 네트워크 인프라와 이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과 유즈케이스를 공개하였으며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한 솔루션 마련


 본 연구에서 글로벌 디지털 산업 박람회의 트렌드와 아젠다를 검토하여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ㅇ (시사점1)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가상공간의 활용성과 확장성에 대응하여 국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촉진 정책과 미래 사회 문제 대응을 위한 제도를 개선

 ㅇ (시사점2) 환경 부문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임과 조직·거버넌스 구조의 변화에 대한 고민의 결과를 실체화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다양화

 ㅇ (시사점3) 글로벌 기업과 주요국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지속가능성 강화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 기술 개발 지원 및 보조금 지원을 확대

 ㅇ (시사점4) 지속가능성이 높은 메타버스 기반의 전시공간을 마련하고, 자유로운 네트워킹 활동이 가능한 오프라인 공간을 제공하여 수출 증진을 위한 지원 사업을 변화

공공누리 마크 제4유형 이미지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