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힘

원문다운로드 자료 활용 안내

모달팝업닫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자료 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용하시는 자료는 연구기관의 소중한 연구성과물로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 하단의 자료이용 동의서 및 사용목적 등에 응답 부탁드립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성과물 활용 현황 및 서비스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 이용조건 동의
  • 자료 이용 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였음을 명시할 것을 동의합니다.
  • 본 저작물을 "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것을 동의합니다.
※ 무단으로 연구성과물을 사용하였거나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시한 이용조건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 자료사용목적
  • 직업군 선택

STEPI Insight 메타버스 가상세계 생태계의 진화전망과 혁신전략

요약 탭컨텐츠

최근 온라인 가상공간과 현실이 융합한 ‘가상공존세계(virtual shared space)’를 의미하는 ‘메타버스(Metaverse)’ 개념이 부상하고 있다. 이 중 메타버스 가상세계는 AR‧VR 기술 뿐만 아니라 AI, 5G, 클라우드 등의 범용기술과 결합하여 새로운 서비스 시장을 형성하는 중이다. 특히, 주로 게임과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치중되어 있던 서비스가 코로나 19 이후 비즈니스의 영역으로 확장되면서 메타버스에서의 활동은 놀이와 여가로서의 의미를 넘어 현실의 수익과 경제적 가치 창출의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 메타(구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 글로벌 IT 기업들은 자신이 주도하는 플랫폼 안에서 사용자들을 흡수하기 위해 인프라와 콘텐츠를 강화하고 연계 서비스를 개발하는 중이다. 

  본 연구는 기술구현의 요소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부가가치의 확장성을 반영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인프라-플랫폼-콘텐츠‧IP’의 메타버스 가상세계의 생태계 분석틀을 제안한다. 나아가 원격경제의 진화적 관점에서 데이터 활용 및 플랫폼의 발전 수준의 두 축으로 본 국내 메타버스 생태계의 진화 수준과 전망을 진단한다. 이를 토대로 메타버스 산업에서 국내 기업이 취할 전략적 선택지와 혁신경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한국은 현재 세계시장에서 인프라, 플랫폼을 주도하고 있는 글로벌 빅테크에 맞서 콘텐츠/IP 분야를 중심으로 메타버스 분야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혁신경로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메타버스 가상세계 생태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메타버스 서비스 확산에 따른 디스플레이 폼팩터의 다양화와 수요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요소기술 개발에 전략적인 투자‧지원

(2) 분야별 새로운 콘텐츠 환경에 유연하게 연동 가능하고, 설계 내용을 쉽게 접목할 수 있도록 저작툴의 범용성 및 고도화, 전문인력 양성 추진

(3) 메타버스 저작권 가이드라인 구체화, 디지털 자산 거래소 간 편의성과 보안성이 증진 등 메타버스 공간 내 활발한 창작과 경제활동을 지원하는 거래환경 조성

공공누리 마크 제4유형 이미지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