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탭컨텐츠
연구목적
ㅇ 국내 제조업의 최근 3년간(2019~2021년) 혁신 성과ㆍ활동ㆍ협력 등 기업혁신 현황과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관련 연구 및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수집ㆍ제공
ㅇ 국제 혁신조사 지침인 OECD 오슬로 매뉴얼(Oslo Manual) 최신 개정판(제4판) 및 유럽 공동체혁신조사(CIS: Community Innovation Survey) 최신 조사표 등을 참고ㆍ반영한 조사 수행을 통해, OECD 주요국들과 결과 공유 및 국제 비교가 가능한 신뢰성ㆍ대표성 높은 통계자료 생산
주요내용
1. 조사개요 및 체계
ㅇ 2019~2021년 활동한 상용근로자 10인 이상 제조업체(52,460개사)가 모집단이며, 통계청 기업통계등록부(SBR)를 활용하여 업종별ㆍ규모별 층화추출한 4,000개 표본 조사
ㅇ KIS 2020 통합조사표의 최소한의 수정 및 CIS 2020 표준조사표와의 호환성 제고
ㅇ 기본주제(기업 일반사항, 전략과 지식흐름, 기업혁신성과ㆍ활동, 정부지원제도와 규제 등) 및 특별주제(환경과 기업혁신, 디지털전환(DX)과 기업혁신)로 구성
2. 기본주제 주요 조사결과
ㅇ 기업 일반사항: 독립기업(94.1%), 국내그룹 계열사(5.2%), 해외그룹 계열사(0.6%)
- 법정유형: 소기업(72.2%), 중기업(24.8%), 중견기업(2.4%), 대기업(0.6%) 순
- 인증: 부설연구소/전담부서보유(32.6%), ISO(12.1%), 벤처기업(11.2%), 이노비즈(10.7%) 순
- 매출액: 10억~50억원(47.6%), 50억~100억원(22.5%), 100억~500억원(20.7%) 순
ㅇ 전략과 지식흐름: ‘상품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전략(품질 경쟁력)’(90.2%) 활용 기업 비중이 가장 높음
ㅇ 혁신성과: 국내 제조업혁신율은 24.0%이며, 상품혁신율은 20.5%, 비즈니스프로세스(BP)혁신율은 18.2%로 나타남
ㅇ 혁신활동: 혁신활동률은 24.3%, R&D활동률은 42.3%로 나타남
ㅇ 혁신지출(비용): 2021년 기준, 평균 6억 4천만원을 혁신 비용으로 지출
ㅇ 혁신협력: 타기업ㆍ타기관과의 R&D 활동 협력(13.9%), R&D 이외의 혁신활동 협력(6.9%), 혁신활동 이외의 일반활동 협력(7.7%)로 각각 나타남
ㅇ 혁신 저해요인: 내부 자금부족(77.7%), 과다한 혁신비용(74.6%), 정부지원 획득 어려움(48.6%), 외부 자금부족(46.4%) 순
ㅇ 정부지원제도와 규제: 활용도는 인력지원(31.2%), 조세지원(27.9%), 기술지원(26.1%) 순이며, 규제의 부정적(저해) 영향이 긍정적(촉진) 영향보다 높았음
3. 특별주제 주요 조사 결과
ㅇ 환경과 기업혁신
- 기후변화 관련 요소의 영향: 관련 정부 정책/대책(58.3%), 기후변화 완화 또는 적응에 도움이 되는 상품 수요 증가(56.5%), 기후변화에 따른 비용 또는 투입 요소 가격 증가(56.4%), 기상이변의 영향(42.3%) 순
- 환경편익이 있는 혁신 도입 여부: 자사를 위해(19.9%), 최종사용자를 위해(15.5%)로 각각 나타남
- 환경편익이 있는 혁신 도입 결정 영향 요인: 기존 환경 규제(91.1%), 향후 예상 환경규제/세금(86.5%), 기존 환경세/요금/수수료(85.0%) 등의 순
ㅇ 디지털전환(DX)과 기업혁신
- 디지털전환 도입 현황: 디지털전환을 도입하지 않았고 계획이 없는 기업(69.3%), 도입한 기업(21.3%), 도입하지 않았지만 도입할 계획 중인 기업(9.4%) 순
- 디지털전환 미도입 사유: 비즈니스 특성상 필요 없음(44.5%), 현 기업 운용 상태에 만족(30.7%), 자금부족(35.5%) 등의 순
- 디지털전환 도입 성과: 보안 강화(51%), 비용절감(30.5%), 기타(26.4%) 등의 순
- 디지털전환 촉진을 위한 정부 지원정책: 전문인력 양성 및 확보 지원(29.9%), 디지털전환 가이드북 등을 통한 관련 정보 제공(22.6%), 자금/금융 지원(12.6%) 등의 순
- 디지털전환 전담인력/조직 보유 현황: 없음(67.8%), 타 업무와 함께 수행(17.9%), 외주용역 사용(11.9%), 자체 전담인력/조직 보유(2.5%) 순
정책대안
ㅇ 한국기업혁신조사(KIS)의 학술적ㆍ정책적 활용도 제고를 위한 패널(panel)데이터 구축 및 심층분석 연계를 통해, 증거기반 혁신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지속 제공 필요
ㅇ KIS 데이터 활용 논문 공모전 및 학술대회 개최 등으로 관련 연구성과 확산ㆍ공유
ㅇ 향후 조사 체계화 및 DB 연계ㆍ축적을 통한 국내외 시계열 비교분석으로, 국내 기업의 혁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맞춤형 지원정책 수립에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