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탭컨텐츠
연구목적
○ 우리나라 혁신창업의 성과 뿐만 아니라 기업가정신 생태계 전반의 구성요소 및 기능을 매년 정량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기업성장을 위한 생태계 관점에서의 현황 진단과 대안을 제시함
○ 2022년 8차년도 연구의 주요 질문
- 첫째, 한국의 현재 혁신창업 활동과 혁신창업생태계 전반의 수준은 어떠하며, 투자, 교육 등 기업가정신 생태계 각 부문별 동향과 이슈는 무엇인가
- 둘째, 한국의 혁신창업 유형 중 지역혁신 기반의 창업, 사회혁신 기반의 창업 사례를 통한 시사점은 무엇이며, 기술 및 지식 기반 기업가정신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정책과제는 무엇인가
주요내용
○ 첫 번째 연구질문은 제1권 「혁신창업생태계 대시보드」에서, 두 번째 연구질문은 제2권 「혁신창업 활성화 및 기업가정신 생태계 발전방안」에서 답하는 내용으로 구성함
○ 제1권 「2022년 혁신창업생태계 대시보드」에서는 2022년 혁신창업생태계 대시보드 내용을 10대 부문별로 분석‧진단하고(2장), 대시보드를 활용하여 활력 지수를 개발‧분석하며(3장), 혁신창업 지원시스템을 심층 진단하여(4장), 개선과제를 단기와 중장기로 구분하여 제시함
○ 제2권 「혁신창업 활성화 및 기업가정신 생태계 발전방안」에서는 거시·미시 자료를 활용하여 혁신창업이 고용 창출, 생산성 증대, 혁신 제고 등의 경로를 통해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는지 정량적으로 검증하고(2장), 제3~5장은 지역․사회․기술/지식 기반 기업가적 생태계를 잔단하여 정책과제를 제시함
정책대안
--------------------------------------------------------------------
혁신창업 및 기업가정신 생태계 모니터링 사업(8차년도)
1권: 2022년 혁신창업생태계 대시보드
2권: 혁신창업 활성화 및 창업생태계 발전방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