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힘

원문다운로드 자료 활용 안내

모달팝업닫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자료 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용하시는 자료는 연구기관의 소중한 연구성과물로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 하단의 자료이용 동의서 및 사용목적 등에 응답 부탁드립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성과물 활용 현황 및 서비스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 이용조건 동의
  • 자료 이용 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였음을 명시할 것을 동의합니다.
  • 본 저작물을 "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것을 동의합니다.
※ 무단으로 연구성과물을 사용하였거나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시한 이용조건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 자료사용목적
  • 직업군 선택

연구보고서 스마트 생산 열린혁신랩 운영 및 연구사업(4차년도)

요약 탭컨텐츠

<연구목적>

현장 전문가를 중심으로 정책 의제를 발굴하고 국가 차원의 전략적 대응방안을 모색

- 2개 분과 워킹그룹(WG)을 운영하여 참여자간 합의에 기반해 혁신의제 및 전략 도출

- 새로운 정책의 집단지성 플랫폼(collective intelligence platform of policy) 구축

도출된 정책의제의 실제 정책화를 위해 실행전략까지 고려한 연계 체계 구성 시도


<주요내용>

(WG1) 제조데이터 비즈니스모델 분과 워킹그룹 운영

- 제조데이터 수요·공급자, 비즈니스기업, 인프라 전문가 등으로 WG 구성 및 7회 워크숍 진행

- 데이터 생성·수집, 공유·활용, 제도·인프라 등 단계별로 총 9개 정책 제안 제시

(WG2) 스마트 애그테크 분과 워킹그룹 운영

- 스마트팜, 농기계 제조, 축산 데이터, 식품 제조·유통 전문가 등으로 WG 구성 및 워크숍 진행

- 데이터 기반혁신, 정책지원 인프라, 인적 자원 등 세분야별로 총 8개 정책 제안 제시

스마트생산 정책제안 진단

- 2개 워킹그룹별로 도출된 정책 제안에 대한 우선순위 도출 (AHP 설문)

2023(4차년도) 열린혁신랩 정책이슈 분석

- 스마트생산 글로벌 연구공간(research space) 분석, 참여적 정책설계 방법론 심화 분석


<정책대안>

(제조데이터 BM) 데이터 생성·수집 단계 정책지원, 특히 글로벌 표준 참조모델 채택을 중요시

- 우리나라 고유의 데이터 표준 제정을 위한 기술개발이나 개별적인 확산 시도 보다는, 글로벌 표준을 채택하여 상호운용성을 높이고 AI 연계 후속 활용에 초점을 맞추는 정책 방향을 선호

(스마트애그테크) 데이터 기반혁신을 위한 인프라·인력 지원의 필요성 제기

- 신산업 육성을 위한 융복합 교육체계(정책공급자), 현재 사업의 디지털 전환과 데이터 관리 기반 강화(정책수요자)를 중요시


목차 탭컨텐츠
공공누리 마크 제4유형 이미지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