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다운로드 자료 활용 안내

모달팝업닫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자료 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용하시는 자료는 연구기관의 소중한 연구성과물로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 하단의 자료이용 동의서 및 사용목적 등에 응답 부탁드립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성과물 활용 현황 및 서비스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 이용조건 동의
  • 자료 이용 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였음을 명시할 것을 동의합니다.
  • 본 저작물을 "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것을 동의합니다.
※ 무단으로 연구성과물을 사용하였거나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시한 이용조건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 자료사용목적
  • 직업군 선택
확인 취소

연구보고서 미래 과학기술 인재상과 이공계대학 지원정책의 전환방향

요약 탭컨텐츠


[연구목적]

 

□ 과학기술인력정책의 주류였던 범용 인재 양성 및 인력 풀 확대 정책은 한계에 도달

 

□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패러다임이 변화되면서 기술혁신전략도 창조적 기술혁신을 요구하게 됨

 

□ 이에 본 연구는 중장기적으로 우리나라의 미래 과학자 및 엔지니어(Scientists & Engineers)에게 요구되는 새로운 인재상과 환경 변화에 입각하여 과학기술인재의 주요 공급처인 이공계 교육 정책의 전환 방향을 모색


 

[주요내용]

 

□ 미래 과학기술인재의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키워드들의 중요성과 상호 관계를 표시한 과학기술인재의 퓨처스 휠(futures wheel)을 도출

 

□ 우리나라 과학기술직업의 변화 추세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과학기술인재에게 요구되는 직무 영향 요소의 변화 추세를 파악

 

□ 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미래 환경 요소의 변화와 직무 역량 변화를 감안하여 미래 과학기술인재상을 구축

 

□ 그 다음 미래 과학기술인재상에 대한 대응 측면에서 현재 이공계 교육의 변화 추세와 정책 현황을 분석하고 미래 과학기술인재 양성 측면에서의 한계점을 파악

 

□ 여기에 더해 기존의 이공계 교육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서 시도되고 있는 국내외 사례를 문헌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

 

□ 마지막으로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10년 후 우리나라 과학기술인재의 양성 및 활용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구축되기 위해서 필요한 이공계 대학 교육의 개선 방향 및 주요 정책 방안을 제언

 


[정책대안]

 

□ 대학 교육역량 강화와 다양성 확보 기반 구축
 - 대학의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종합적인 모니터링과 진단을 바탕으로 다양성을 촉진하는 교육혁신사업에 대한 대규모 기획 및 추진
 - 교육역량강화의 다양성 확보를 위한 사업 평가지표 및 평가방식의 개선

 

□ 기초소양 및 학습역량 중심 교육
 - 학습역량 강화 중심의 프로젝트 방식 이공계 학부 교육 추진과 이를 위한 교수 교육훈련 프로그램 제공, 교육활동 중심의 평가체제 마련
 - 연구자 경력개발의 초기 단계가 되도록 이공계대학원 교육체제 혁신

 

□ 과학기술인재의 경력개발단계에 맞춘 사회교육 시스템 구축
 - 과학기술인재 역량개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R&D 사업의 기획 및 추진 등 지속적인 평생학습시스템 구축

 

□ 과학기술인재 맞춤형 경력개발 지원
 - 과학기술인재의 경력단계별로 차별화된 역량강화 프로그램 추진
 - 과학기술인재 경력개발컨설팅 제공: 전문가 양성 및 기반 구축 선행

 

□ 이공계 대학교육 혁신 인프라 확충
 - 박사조사를 확장한 패널조사 신설을 기반으로 과학기술인재 경력개발 종합통계시스템 구축
 - 이해관계자 참여형 이공계대학 정책 기획과 성과점검 시스템 구축

 

공공누리 마크 제4유형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