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탭컨텐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지식기반경제가 발전하면서 지역혁신을 위한 대학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음
○ 지식기반경제의 발전에 따라 지식 생산과 혁신 창출을 위한 근접성(proximity)의 중요성이 재조명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혁신 중심지들의 등장과 변화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지역 차원의 혁신정책의 필요성을 증가시키고 있음
□ 국내에서는 지역혁신정책과 산학협력정책을 통해 대학의 지역혁신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들을 추진해 왔으나, 여전히 대학과 지역 기업 간 연계는 부족한 편임. 이에 지역혁신을 위해 대학이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을 새로이 진단하고 이를 향후 정책에 반영할 필요성이 제기됨
[주요 연구내용]
□ 지식트라이앵글(Knowledge Triangle)(OECD, 2015; 2016)은 지식의 형성을 연구, 교육, 혁신 간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적인 과정으로 이해하는 개념적 도구이며, 최근 OECD(2015; 2016)에서 연구, 교육, 혁신 정책 부문의 통합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의제로 제기됨
□ 지식트라이앵글 관점에서 볼 때 세 부문의 활동에 모두 참여하는 주체인 대학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혁신활동의 지역화에 따라 지역의 성장과 발전이 결정되는 지식기반경제에서 지역 차원의(place-based) 대학의 역할이 핵심적인 분석 대상임
□ 본 연구는 현재 정책 분야에서 의제 성격으로 논의되고 있는 지식트라이앵글 개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지역혁신에 기여하는 대학의 역할을 재해석하고 새로운 역할을 분석하는 도구로 사용하고자 함
□ 지역과 대학이 긴밀하게 협력해온 역사적 배경을 가진 서구의 대학들은 기술이전과 고급인력 공급 등 전통적인 산학협력 이외에 최근 부상하는 도시기반 혁신(urban innovation)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등 지역혁신을 위한 역할을 확대해 나가고 있음
□ 국내 사례 부분에서는 기존의 산학협력 모델에서 벗어나 지식트라이앵글 관점에서 한국 대학과 지역 간 새로운 파트너십을 보여주는 사례를 분석하여 그 가능성과 한계를 제시하고자 함
[결론 및 정책제언]
□ 지식트라이앵글 관점에서 지역혁신에 기여하는 대학의 새로운 역할을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전략과 정책 과제를 제안함
□ 지역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대학의 역할 강화 전략
[정책 과제 1] 대학 캠퍼스 주변을 창업 및 혁신공간으로 개발하는 대학의 역할 지원
□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 부문 RD&D 거점으로 대학의 역할 강화 전략
[정책 과제 2] 데이터 기반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대학-지자체 파트너십 프로젝트 지원
□ 지역과 대학 간 파트너십 형성을 위한 거버넌스 전략
[정책 과제 3] 국가 중심의 대학 거버넌스를 지역 참여를 높이는 방향으로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