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다운로드 자료 활용 안내

모달팝업닫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자료 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용하시는 자료는 연구기관의 소중한 연구성과물로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 하단의 자료이용 동의서 및 사용목적 등에 응답 부탁드립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성과물 활용 현황 및 서비스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 이용조건 동의
  • 자료 이용 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였음을 명시할 것을 동의합니다.
  • 본 저작물을 "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것을 동의합니다.
※ 무단으로 연구성과물을 사용하였거나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시한 이용조건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 자료사용목적
  • 직업군 선택
확인 취소

연구보고서 정부 R&D 전략과 추진체계 개선방안

요약 탭컨텐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의 필요성

  ○ 국내외 혁신환경 변화에 따른 정부 R&D 대응체계 구축 및 정부 R&D 투자성과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심화됨에 따라 정부 R&D 역할을 재정립할 필요성이 제기됨
  ○ 2013년「정부조직법」및「과학기술기본법」등 관계법령의 개정에 따라 정부 R&D 추진체계가 개편되었으나 정부 R&D 조정체계의 비효율성이 심화됨
  ○ 이에 기획재정부, 미래창조과학부 등 관련 부처의 지속적인 ‘정부 R&D 혁신방안’을 마련하여 실행했음에도 불구하고, 각 소관부처 및 이해관계자의 의견 대립으로 인해 지속가능한 정부 R&D 전략과 추진체계 개편에 대한 회의(懷疑)와 정책의 불명확성이 심화되고 있음
  ○ 따라서 국가과학기술정책 전환기를 맞아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는 2018년을 대비하여 정부 R&D 전략과 추진체계 전반에 대한 시스템적 진단을 통하여 쟁점을 발굴하고, 이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여 정부R&D사업의 생산성 및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부 R&D 전략과 추진체계 개선방안을 마련할 필요성 있음

 
□ 연구의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과학기술정책 전환기의 국내외 혁신환경 분석을 통한 Relevance 및 Excellence 관점의 정부 R&D 전략과 추진체계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것임
  ○ 정부연구개발사업의 역할을 재설정함으로써 융합 등 혁신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부처 간, 부처 내 의사결정 조정 메커니즘을 재설계하여 정부 R&D 생산성 및 효과성 제고방안을 도출함
  ○ 정부 R&D 시스템(연구개발예산 배분?조정 방향, 부처별 역할 배분, 거버넌스, 재정지원제도)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도출함

 

 

[주요 연구내용]

 

□ 대내외 혁신정책 환경 변화와 정부 R&D 운용성과 진단
  ○ 대내외 혁신정책 환경 변화와 정부 R&D 운용성과를 진단하고 국내외 선행연구 및 자료 분석을 통해 연구문제를 도출함
 
□ 외국의 정부 R&D 전략과 추진체계 분석
  ○ 외국의 정부 R&D 전략 및 추진체계를 분석하여 정부 R&D 전략과 추진체계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함

 

□ 우리나라 정부 R&D 전략과 추진체계 진단
  ○ 국정 어젠다 및 정부 R&D 최고전략으로서의 과학기술기본계획과 정부 R&D 추진체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국정 어젠다 구현의 전제조건으로서의 현행 법제도상의 쟁점을 분석하여 정부 R&D 전략과 추진체계 개편의 기본 방향을 설정함

 

□ 정부 R&D 전략과 추진체계 개선방안
  ○ 대내외 정부 R&D 전략 및 추진체계를 진단을 통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정부 R&D 전략 및 추진체계 개선방안을 도출함

     

 

[결론 및 정책제언]


□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 지속가능한 정부 R&D 전략과 추진체계 개편에 대한 회의론적 시각이 심화되고 있는바, 본 연구는 그간 각 정부에서 행하여 온 정부 R&D 전략과 추진체계에 대한 분석 및 진단을 바탕으로 향후 개선 방향성을 제시하고 실질적인 정책 수립에 있어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음
  ○ 분석을 통해 정부 R&D 전략 구현을 위한 추진체계 개선방안에 대하여 ⅰ) 국가과학기술정책 총괄기구 재편방안, ⅱ) 과학기술 분야 관련 중앙행정기관의 조직 재편방향, ⅲ)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및 연구기관의 기능 재편방안, ⅳ) 연구관리 전문기관 조직 및 기능 재편방안, ⅴ) 과학기술분야 원로그룹(한림원) 중심의 자문 기능 재편방안을 제시하였음
  ○ 본론에서 제시한 정책적 대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제도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논의는 차후 본격화 될 것으로 보이므로 차년도 과제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진행될 것을 기대하는 바임

 

공공누리 마크 제4유형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