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탭컨텐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 배경: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이 차세대 혁신(Next Big thing)으로 주목받고 있음
□ 연구 목적: 글로벌 사물인터넷 생태계의 현황과 전망으로 민간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정부의 역할과 정책 대안 제시
[주요 연구내용]
□ 사물인터넷의 개념
□ 사물인터넷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은 제품, 통신 네트워크, 플랫폼
□ 사물인터넷의 기술적 특성은 업그레이드 제품, 데이터, 시스템 상품, 핵심기술 분산
□ 소비자의 상품 선택을 위한 의사결정을 소비자의 특성, 제품의 특성, 구매 상황 등으로 나누어 고찰
□ 사물인터넷 시장의 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시사점
□ 소비자 대상의 사물인터넷 시장(B2C)의 향후 시장 성장과 경쟁 구도를 시장 규모, 시장 구조, 주도 기업, 핵심 역량의 측면
[결론 및 정책제언]
[기업 전략]
□ 생태계 창출형 R&D 강화
□ 기존 핵심역량을 플랫폼화
○ 스마트폰, 가전, 유무선 네트워크, 포털 서비스, 모바일 메신저 등
○ 소비자의 생활 속으로 진입할 수 있는 상륙 거점(beachhead)을 마련: 스마트 홈 허브(Hub), 콘솔(console) 등
□ 제휴사/개발자 네트워크 확대
□ 빅데이터·인공지능 역량 확보
□ 고객 리스크 관리 강화
[정부 정책]
□ 공공 R&D의 소프트화
○ 공공 R&D를 공학적인 기술개발만이 아니라 비즈니스 모델, 소비자 니즈 등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도록 전환
○ 공 R&D 프로세스를 유연화하여 개발되는 기술의 용도와 스펙을 시장 수요의 변화에 따라 연구자가 선택할 수 있는 형태로 추진
□ 공공 수요(B2G) 활용
□ 국가·업종간 협력 촉진
□ 공용자원 및 제도 혁신
□ 인증 및 개인정보 체제 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