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다운로드 자료 활용 안내

모달팝업닫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자료 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용하시는 자료는 연구기관의 소중한 연구성과물로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 하단의 자료이용 동의서 및 사용목적 등에 응답 부탁드립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성과물 활용 현황 및 서비스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 이용조건 동의
  • 자료 이용 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였음을 명시할 것을 동의합니다.
  • 본 저작물을 "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것을 동의합니다.
※ 무단으로 연구성과물을 사용하였거나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시한 이용조건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 자료사용목적
  • 직업군 선택
확인 취소

연구보고서 글로벌 주도권 확보를 위한 사물인터넷 플랫폼 전략(1차년도)

요약 탭컨텐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 배경: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이 차세대 혁신(Next Big thing)으로 주목받고 있음

□ 연구 목적: 글로벌 사물인터넷 생태계의 현황과 전망으로 민간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정부의 역할과 정책 대안 제시


[주요 연구내용]


□ 사물인터넷의 개념

□ 사물인터넷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은 제품, 통신 네트워크, 플랫폼

□ 사물인터넷의 기술적 특성은 업그레이드 제품, 데이터, 시스템 상품, 핵심기술 분산

□ 소비자의 상품 선택을 위한 의사결정을 소비자의 특성, 제품의 특성, 구매 상황 등으로 나누어 고찰

□ 사물인터넷 시장의 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시사점

□ 소비자 대상의 사물인터넷 시장(B2C)의 향후 시장 성장과 경쟁 구도를 시장 규모, 시장 구조, 주도 기업, 핵심 역량의 측면


[결론 및 정책제언]

 

[기업 전략]
□ 생태계 창출형 R&D 강화

□ 기존 핵심역량을 플랫폼화

  ○ 스마트폰, 가전, 유무선 네트워크, 포털 서비스, 모바일 메신저 등
  ○ 소비자의 생활 속으로 진입할 수 있는 상륙 거점(beachhead)을 마련: 스마트 홈 허브(Hub), 콘솔(console) 등

□ 제휴사/개발자 네트워크 확대

□ 빅데이터·인공지능 역량 확보

□ 고객 리스크 관리 강화


[정부 정책]

□ 공공 R&D의 소프트화
  ○ 공공 R&D를 공학적인 기술개발만이 아니라 비즈니스 모델, 소비자 니즈 등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도록 전환
  ○ 공 R&D 프로세스를 유연화하여 개발되는 기술의 용도와 스펙을 시장 수요의 변화에 따라 연구자가 선택할 수 있는 형태로 추진

□ 공공 수요(B2G) 활용

□ 국가·업종간 협력 촉진

□ 공용자원 및 제도 혁신

□ 인증 및 개인정보 체제 정비

공공누리 마크 제4유형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