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힘

원문다운로드 자료 활용 안내

모달팝업닫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자료 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용하시는 자료는 연구기관의 소중한 연구성과물로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 하단의 자료이용 동의서 및 사용목적 등에 응답 부탁드립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성과물 활용 현황 및 서비스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 이용조건 동의
  • 자료 이용 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였음을 명시할 것을 동의합니다.
  • 본 저작물을 "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것을 동의합니다.
※ 무단으로 연구성과물을 사용하였거나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시한 이용조건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 자료사용목적
  • 직업군 선택

STEPI Insight 지역 혁신창업생태계 현황과 과제

요약 탭컨텐츠

우리나라의 혁신창업생태계는 경제사회적 수요 증가와 정부 지원을 통해 지난 30년 간 크게 성장해왔다. 지역 경제사회 역동성 창출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주요 수단으로 혁신창업생태계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지역에 따라 약점과 강점, 관련 주체 간 영향 관계가 다르기 때문에 보다 실효성 있는 정책 마련을 위해서는 지역 혁신창업생태계에 대한 맥락적 이해와 현황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혁신창업생태계 지표 틀을 기준으로 양적 지표를 수집해 지역별 상대적 강점과 약점을 살펴보고 지역별 혁신창업생태계 구성 요소 간 맥락적 관계 파악을 위해 사례 지역에 대한 정성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한 시사점과 정책 과제는 다음과 같다.


(시사점 1) 혁신창업생태계 자원과 환경 요소의 서울 집중에 따른 지역 간 격차 완화를 위해 비수도권 창업인프라와 금융투자 환경 개선이 필요함

(시사점 2) 각 지역별 강점에 기반한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강점을 극대화하고 부족한 영역을 보완해 균형 있는 생태계 조성이 필요함

(시사점 3) 초지역적 산업생태계와 연계해 비수도권 창업기업의 스케일업을 지원하는 초광역 협력 체계를 활성화해야 함


(과제 1) 혁신창업생태계의 초지역 연계 및 협력 강화를 위해 창업경제권 개념 도입 및 초지역 협력 거버넌스 구축과 제도적 장치 마련

(과제 2) 지역 혁신창업생태계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벤처투자 역량을 강화하도록 지역 맞춤형 모펀드 구성 및 운영과 지역 창업기업에 대한 투자-회수-재투자 순환 구조 강화

(과제 3) 지역 창업지원 전문가 육성과 지역 혁신창업생태계 모니터링을 통한 효과적 정책 지원 도모


공공누리 마크 제4유형 이미지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