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힘

원문다운로드 자료 활용 안내

모달팝업닫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자료 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용하시는 자료는 연구기관의 소중한 연구성과물로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 하단의 자료이용 동의서 및 사용목적 등에 응답 부탁드립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성과물 활용 현황 및 서비스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 이용조건 동의
  • 자료 이용 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였음을 명시할 것을 동의합니다.
  • 본 저작물을 "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것을 동의합니다.
※ 무단으로 연구성과물을 사용하였거나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시한 이용조건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 자료사용목적
  • 직업군 선택

STEPI Insight

STEPI Insight 벤처캐피탈의 글로벌화 진단 및 시사점

요약 탭컨텐츠

스타트업의 창업과 성장은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는 것뿐만 아니라 일자리를 창출하고 국가경제의 성장에도 기여한다. 한편, 한국과 같이 스타트업 시장의 규모가 작은 곳에서는 기업의 성장을 위한 해외 진출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전통적으로는 다양한 해외진출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을 촉진했다면, 이 글은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교두보로써 국내 벤처캐피탈(Venture Capital, VC)의 글로벌화 전략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VC를 하나의 해외진출을 위한 금융산업으로 바라보며 새로운 성장 산업을 육성하는 전략을 제안한다.

본문에서는 한국, 일본, 싱가포르의 VC 생태계를 Preqin DB를 통해 비교분석하였으며, 국내외 벤처투자생태계 전문가를 심층분석하여 국내 VC의 글로벌화가 혁신 생태계의 성장에 있어서 미칠 영향과 이러한 글로벌화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제언을 정리하였다. VC의 글로벌화는 협소한 국내 투자시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해외 투자 경험을 통해 혁신금융 생태계의 발전에 기여하고, 해외 시장에서 축적한 투자 성과를 통해 해외 투자사를 국내 스타트업에 투자하도록 유인할 수 있다. 이러한 투자 생태계의 원활한 선순환을 위해서 4가지 정책과제를 제안한다.

첫째, 인바운드 촉진을 위한 외국환 송금 절차 간소화, 해외 VC의 국내법인 설립의 절차 및 VC활동을 위한 라이센스 취득 조건을 완화하는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아웃바운드 촉진을 위해서는 정책금융의 국내투자 항목에 대한 비율을 조정하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해외 투자를 위한 선행 교육 프로그램 및 인턴십 기회를 확대하며, 해외 투자 사례 분석이 축적되어야 한다. 국내 VC의 글로벌화에 장애요인으로 해외 투자 및 현지 시장 이해 전문 인력 부족, 해외 투자 관련 법률·회계·세무 등 전문성 부족, 해외 투자 경험 부족이 나타나는 점을 지속적으로 보완해 가야한다.

셋째, 해외 VC 및 투자기관과의 네트워킹을 강화하고, 해외 투자 유치를 위한 마케팅과 홍보를 강화한다. 국내 VC 산업의 연륜이 비교적 짧다 보니 투자 관련 해외 네트워킹의 한계를 극복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넷째, 해외 투자 관련 법률 및 회계 시스템에 대한 전문성 강화와 함께 투자 위험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련 법률 전문가와 협력의 창구를 마련한다. 더불어 해외 투자 분쟁시 해결을 위한 프로세스 마련이 필요하다.


공공누리 마크 제4유형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