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탭컨텐츠
최근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고 기술경쟁력이 경제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이공계 대학원생 감소가 국가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의식도 확대되고 있다.
이공계 대학원은 과학기술분야의 대표적인 연구인력 양성기관이자 연구개발주체라는 점에서, 이공계 대학원생 감소는 과학기술분야 인력양성 및 연구활동 전반을 위축시킬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이미 대학현장과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대학원 입학생의 질적 수준 저하와 미충원 문제 등이 지속 제기되어 왔음에도, 지금까지 ‘이공계 대학원 위기’에 관한 객관적 데이터나 진단 연구는 충분하지 않고 단편적 정보에 기반한 주장이 대부분이었다.
2001년 이후 지속된 초저출산에 따른 인구절벽시대의 본격 도래에 앞서, 국내 이공계 대학원생 부족문제에 관한 정확한 진단과 대응방안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이공계 대학원생의 현황 및 확보·양성 이슈를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인구절벽시대에 대응한 이공계 대학원 지원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주요결과 1: 이공계 대학원생 증가추세) 저출산 현상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 교육부 대학정원 동결·감축 기조에도 불구하고 지난 20년 간 이공계 대학원생의 규모는 증가추세이며, 인적구성 다변화와 대학유형별·계열별 현황차이가 큰 상황이다.
(주요결과 2: 이공계 대학원생 감소전망) 초저출산 시대 출생아들의 대학원 진학이 본격화되는 2025년 전후로 이공계 대학원의 입학자원 감소추세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주요결과 3: 이공계 대학원생 확보·양성 이슈) 이공계 대학원생의 규모감소 및 구성변화의 지속·심화는 학업·연구환경 및 신규 인력배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원방향 1) 이공계 대학원생 양성체제의 질적 제고·관리방안 구축, 인적구성 다변화에 대응한 대상별 대학원생 지원 확대를 통한 이공계 대학원의 인력양성 내실화 지원
(지원방향 2) 이공계 대학원의 규모·구성변화에 대응한 대학원 연구체제 전환, 이공계 대학원생의 교육·연구여건 개선을 위한 행정지원 확대, 이공계 대학원의 인력양성 책무성 강화를 통한 이공계 대학연구체제 재편 지원
(지원방향 3) 대학원생 현황을 반영한 이공계 대학원의 역할별·기능별 특성화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