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힘

원문다운로드 자료 활용 안내

모달팝업닫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자료 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용하시는 자료는 연구기관의 소중한 연구성과물로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 하단의 자료이용 동의서 및 사용목적 등에 응답 부탁드립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성과물 활용 현황 및 서비스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 이용조건 동의
  • 자료 이용 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였음을 명시할 것을 동의합니다.
  • 본 저작물을 "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것을 동의합니다.
※ 무단으로 연구성과물을 사용하였거나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시한 이용조건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 자료사용목적
  • 직업군 선택

STEPI Insight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지원․육성 현황 및 개선방향

  • 권호
    283
    저자
    엄미정, 김정호, 황은혜 저자별 발간물 찾기
  • 발간일
    2021-12-15
    조회수
    2,806
  • 페이지
    35
    다운수
    1,153
  • 주제분류
    과학기술혁신정책 > 국가연구개발정책
    국가과학기술 미래전략 > 미래과학기술 비전 및 전략
    과학기술과 산업/경제 > 기업혁신전략
    동일 주제 발간물 찾기
  • 키워드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신직업, 첨단・신기술
    원문보기
    STEPI_Insight_283.pdf 바로보기
요약 탭컨텐츠

본 연구는 정부가 2014년 이후 선정, 지원해온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지원 사업과 관련하여 현황 및 문제점을 진단하여 향후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발굴과 지원정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부는 2014년 이후 10개의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을 선정하여 교육훈련 지원을 통해 관련 신직업 종사자를 육성하여 왔다. 그동안 정부의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은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된다.

첫째, 일정한 기준을 설정하지 않고 특정 기술분야에 개발자, 전문가 등을 붙여 신직업으로 선정하여 신직업의 기준과 범위가 임의적이고 모호하다는 점이다.

둘째, 각 신직업의 교육 난이도와 비용의 차이를 반영하지 않고 사업을 평가하여 고급인력 대상 신직업에게 불리하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은 관련 기술의 변화발전에 따라 빠르게 변화되는데, 신직업 선정 후 지원 성과를 모니터링하여 사업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부족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정책 추진과 관련하여 3개 과제를 제안하였다.

과제1)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발굴 및 육성을 위한 기준 명확화: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은 직무수행 시 STEM 전문지식을 상당히 요구하는 직업 등으로 정의를 명확히 해야 하고, 선정 기준도 전문성, 업무독립성, 일자리창출기여도 등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과제2)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단계별 지원・육성책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지원은 초기단계, 성장단계, 성숙단계 등에 맞춰 인력육성 대상, 지원 수단 등이 차별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그 지원 내용을 제시하였다.

과제3)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발굴 및 지원을 위한 기반 구축: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은 기술변화 및 기술인력 직무변화에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기술인력 직무 모니터링 조사가 이뤄질 필요가 있으며, 관련하여 별도의 조사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기술개발인력과 기술활용인력 양성을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공누리 마크 제4유형 이미지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