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탭컨텐츠
국내 지역들은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감소, 지역쇠퇴, 삶의 질 중심의 사회적 가치관 변화, 다문화사회로의 진입, 디지털 전환 등 다양한 요소로 인해 대전환기를 맞고 있다.
‘전환적 지역혁신정책’은 지역이 직면한 도전과제 해결과 새로운 발전 경로 형성을 출발점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국내 지역소멸에 대응하는 효과적 정책 대안으로 작용 가능하다.
RISE 사업은 대학을 지역혁신 핵심주체로 설정하고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지역 사회·기술시스템을 재구성하는 내용을 일부 담고 있기 때문에 전환적 지역혁신정책 맹아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ISE 사업을 지역혁신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전환적 지역혁신정책의 ‘선도 실험’으로 파악하여 ‘전환적 지역혁신정책의 적용과 발전’의 관점에서 동 사업을 리뷰하고 정책과제를 도출하였다.
(과제 1) 전환적·임무지향적 지역혁신 관점에서 2040년 지역사회의 발전 비전과 지역혁신 임무를 작성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전환 전략 및 계획 수립
(과제 2) 지역특화 혁신자원을 발견·진화시켜나가는 연구·교육·활동 프로그램 운영
(과제 3) 지식연구·정책기관 및 기업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리빙랩 기반 지역 특화 테스트베드 구축
(과제 4) 단위 프로젝트 위주의 사업추진 방식을 넘어 지역의 혁신자원과 경험을 체계적으로 축적할 수 있는 시스템 및 프로세스 설계
(과제 5) 지역주민들의 플랫폼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주민 역량강화·혁신주체화 프로그램’ 운영
(과제 6) RISE 사업이 지향하는 리빙랩, 지역현안 해결 등 새로운 유형의 혁신활동을 촉진하는 제도적 기반 및 평가체계 구축
(과제 7) AI와 같은 기반기술과 지역혁신 플랫폼을 활용한 도전과제 대응 융합형 산업혁신 촉진 프로그램 개발·운영
(과제 8) 전환지향적 산업 촉진 및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대학교육 및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체계화
(과제 9) 글로컬 전략으로서 지속가능성, 고령화 등 사회적 도전과제 대응과 산업혁신을 연계하는 범국가·글로벌 사업 참여 및 교차 시험·실증 프로그램 운영
(과제 10) 지역 간의 공통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축적된 자원을 활용하고 지역혁신 자체의 규모화를 위한 초광역·국가 단위의 협력 프로그램 운영
(과제 11) 콜렉티브 임팩트를 창출하기 위해 각 주체들의 활동을 연계하는 ‘임팩트 매니저’(코디네이터, 퍼실리테이터, 전문분야별 멘토, 카운슬러 등) 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