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탭컨텐츠
사회적 도전과제 대응과 지속가능한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지향하는 ‘전환적 혁신정책(Transformative Innovation Policy)’, ‘임무지향적 혁신정책’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다. 시스템 전환을 위해서는 전환의 전망을 가지고 시스템 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는 주요 핵심 분야에 대한 종합적인 투자활동이 필요하다. 개별 요소·문제에 대한 투자와 혁신활동만으로는 시스템 전환이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최근 ‘임팩트 투자’에도 도전과제 대응을 위해서는 시스템 전환 관점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논의들이 활성화되고 있다. ‘임팩트 투자’는 사회문제 해결에 참여하는 혁신주체들에 대한 투자를 통해 사회문제의 실질적 해결(임팩트 창출)과 함께 수익을 창출하는 활동인데, 주로 특정 문제에 대한 개별 솔루션(single-point solution)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많아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도전과제 대응 혁신활동의 주요 수단이자 주체인 임팩트 투자의 현황을 살펴보고, 임팩트 투자가 ‘시스템 투자’로 진화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정책 방안을 논의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정책방안은 다음과 같다.
(과제 1) ‘시스템 투자 선도모델 개발·실행 프로그램’ 운영
(과제 2) ‘시스템 투자 모델’의 타 분야 적용 확대
(과제 3) 딥테크를 활용한 임팩트·혁신활동의 활성화
(과제 4) 시스템 투자와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과의 연계 강화
(과제 5) 지역전환 프로그램과 연계되는 시스템 투자 프로그램 운영
(과제 6) 시스템 투자를 위한 지역사회 및 주민들과의 공동창조 활동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