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힘

원문다운로드 자료 활용 안내

모달팝업닫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자료 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용하시는 자료는 연구기관의 소중한 연구성과물로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 하단의 자료이용 동의서 및 사용목적 등에 응답 부탁드립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성과물 활용 현황 및 서비스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 이용조건 동의
  • 자료 이용 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였음을 명시할 것을 동의합니다.
  • 본 저작물을 "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것을 동의합니다.
※ 무단으로 연구성과물을 사용하였거나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시한 이용조건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 자료사용목적
  • 직업군 선택

연구보고서 ‘도전과 혁신 중심’ 국가과학기술정책 이행점검체계 구축사업(3차년도)

요약 탭컨텐츠

<연구목적>

도전과 혁신의 관점에서 국가과학기술정책의 이행을 점검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함

- 이를 위해 지난 3년동안 매년 3건의 정책들을 시범점검하였으며, 최종 프레임워크, 이행점검 기준과 방법, 제도화 방안을 도출함


<주요내용>

과학기술 분야 국정과제 3건에 대해 시범점검을 실시함

- 국정과제 74(국가혁신을 위한 과학기술 시스템 재설계); 75(초격차 전략기술 육성으로 과학기술 G5 도약); 76(자율과 창의 중심의 기초연구 지원 및 인재양성)

- 설문조사(2023.8.16.~8.31, 일반인 1,000, 전문가 158), 국정과제별 FGI 실시

시범점검을 통해 도전과 혁신 중심 국가과학기술정책 이행점검 프레임워크를 보완함

- 일반적인 정책평가의 기준들 이외에 도전과 혁신 관점의 점검기준으로 아래를 추가함

    ∙[정책설계] 성과목표의 구체성, 정책수단의 적절성, 위험요인 해소

    ∙[정책이행] 차별화된 노력, 범정부 및 산학연 협력

    ∙[정책성과] 과학적·경제적·사회적 측면의 획기적 성과


<정책대안>

과학기술 분야 국정과제의 이행점검은 연구를 통한 컨설팅 측면에서 접근할 것을 제안

- 정부기관이나 위원회 조직에서 직접적으로 점검결과를 활용하기 보다는 독립적인 연구기관에서 주관하여 이행점검의 결과를 국민에게 공개함으로써 다음 국정과제에 간접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이 가장 현실적

- 과학기술기본법에 법적 근거를 추가함으로써, 원자료 확보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체계적인 정책이력 관리도 가능하게 만들 필요가 있음

목차 탭컨텐츠
공공누리 마크 제4유형 이미지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