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힘

과기정책연, 인도네시아의 과학기술혁신정책 역량 강화를 위한 개발협력 지속

작성일2021.04.15 조회수1,918

과기정책연, 인도네시아의 과학기술혁신정책 역량 강화를 위한 개발협력 지속
- 15일(목), 2021년도 인도네시아 국제기술협력사업 착수세미나 개최 -


□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하 과기정책연(STEPI), 원장 문미옥)은 지난 4월 15일(목), 「2021년도 한-인도네시아 국제기술협력사업(2021 K-Innovation Partnership Program with Indonesia)」착수세미나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 이번 착수세미나에서는 그간의 협력 성과를 점검하고 금년도 사업의 추진방향 및 추진 체계 등을 모색하기 위해 양국의 과학기술혁신정책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하여 열띤 토론을 가졌다.

□ 「한-인도네시아 국제기술협력사업」은 과기정책연이 2018년부터 과학기술 ODA 사업의 일환으로 인도네시아 정부 및 과학기술혁신 연구기관의 정책 수립과 실행역량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 올해로 4년차를 맞이한 동 사업은 인도네시아의 국가과학기술기본법 제정을 지원한 성과를 냈으며, 금년에는 ▲임무지향형 과학기술혁신 연구기관 관련 법·제도 개선 방안 도출 ▲중기 R&D 정책 평가시스템 설계와 이행 평가 실시, 그리고 ▲과학기술 관련 법 규정 개편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정책컨설팅, 공동연구, 초청 역량강화 워크숍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 문미옥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의 개회사와 두디 히다얏(Dr. Dudi Hidayat, LIPI) 인도네시아국립과학원 부원장 대리의 축사로 시작된 이번 착수세미나에서는 제1발제로 임덕순 과기정책연 선임연구위원이 ‘2021년도의 인도네시아 국제기술협력사업의 사업 추진 계획 및 방법’을 소개했다.

 ○ 임덕순 선임연구위원은 발제에서 한국과 인도네시아 공동 연구팀이 2020년에 인도네시아 과학기술혁신 시스템 및 연구개발 평가체계에 대한 분석 연구를 진행했다고 소개하며,

   - 올해는 공동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인도네시아 현지 상황에 적용 가능한 한국의 모범사례를 소개하고 공동연구, 온라인연수와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제2발제를 맡은 권기석 한밭대 교수는 ‘인도네시아의 과학기술혁신 싱크탱크 관련 법·제도 개선을 위한 자문 계획’을 소개했다.

   - 권 교수는 한국의 STI 정책 거버넌스와 싱크탱크의 진화과정을 소개하면서, 특히 한국의 과학기술정책 수립, 이행 및 평가에 있어 과기정책연을 비롯한 주요 싱크탱크의 역할과 기능은 향후 인도네시아가 STI 싱크탱크를 설립할 때 법제도 개선에 있어 좋은 참고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이어서 ‘인도네시아 연구개발사업의 전주기적 평가 체계 구축을 위한 자문 계획’이란 제목으로 고영주 대전과학산업진흥원장은 한국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관리 및 평가 체계에 대해 소개했다.

   - 이와 함께 바이오 및 ICT 등 주요 과학기술분야의 공공연구과제의 선정 절차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 마지막으로 ‘인도네시아 과학기술관련 법·제도 개선을 위한 자문 계획’이란 제목으로 발제를 맡은 김성수 한국외대 교수는 1958년에 제정된 원자력법을 비롯한 한국의 다양한 목적의 과학기술 관련 법·규정들을 소개하고 시사점을 도출했다.

   - 특히, 금년에 인도네시아 정부가 연구개발기금, 기술이전 및 지적재산권보호법 등과 관련해서 법·규정을 제정하는데 한국의 경험이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자문을 진행할 예정임을 밝혔다.

 ○ 국내 전문가의 발제에 이어, 아뉴게라 유카 아스마라 연구원(Mr. Anugerah Yuka Asmara)은 ‘인도네시아의 과학기술혁신 싱크탱크 관련 법·제도 현황’, 쿠스난다르 박사(Dr. Kusnandar)는 ‘중기 R&D 정책 평가시스템 현황’, 다낭 람단 연구원(Mr. Dadang Ramdhan)은 ‘인도네시아의 과학기술 관련 규정 현황’을 발표하였다.

□ 양국 전문가들의 공동발표에 이어 진행된 질의 응답시간에서는 인도네시아 연구혁신부/국가연구혁신청(RISTEK-BRIN), 국가발전기획부(BAPPENAS) 등 착수세미나를 청취한 인도네시아의 과학기술정책 관련 주요 부처 공무원 및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도 이뤄졌다.

□ 문미옥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도 과학기술혁신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한국의 대표적인 과학기술혁신정책 싱크탱크로서 과기정책연은 인도네시아의 과학기술혁신정책 역량강화를 위한 협력을 지속함으로써 과학기술외교의 모범적 사례를 만들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두디 히다얏 인도네시아국립과학원 부원장 대리는 축사에서 “과기정책연은 2014년부터 인도네시아의 과학기술정책 역량강화를 지속적으로 지원한 대표협력기관”이라면서 “2020년 인도네시아 국제기술혁신협력사업의 정책자문결과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새롭게 출범한 연구진흥기금(Research Endowment Fund)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고 강조했다.

 ○ 이와 함께 올해에도 인도네시아 과학기술계가 직면한 과학기술정책 이슈에 대한 컨설팅과 분야별 정책실행 역량강화를 위한 과기정책연의 지원을 기대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과기정책연, “대학생 크리에이터 모여라” 목록 국내 스케일업, 전담 관리를 통해 앵커기업으로 육성해야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