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stepi.re.kr/mini/wangdkim
김왕동
김왕동 사진보기
김왕동
본부장
글로벌혁신전략연구본부
044-287-2128
주요연구분야
학력
경력
가입학회
주요연구실적
연구활동
기타STEPI자료
주요연구분야
과학기술분야의 창의적 인재양성
창의적 연구환경과 문화조성
과학기술과 기타분야의 융합
과학기술과 사회관련 이슈
학력
2002 고려대학교 대학원/경영학/경영학 박사
1992 고려대학교 대학원/경영학/경영학 석사
1990 고려대학교/경영학/경영학 학사
1986 공주사범대학 부속 고등학교
경력
2011~ 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연구위원
2010 ~ 2011 조지워싱턴대학교, 국제과학기술정책연구소, 방문학자
2003 ~ 2011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부연구위원
2002 ~ 2003 Cardean University/Educasia, Adjunct Faculty
2000 성신여자대학교/시간강사
1998 ~ 2001 고려대학교/사회교육원/시간강사
1997 ~ 1999 고려대학교/기업경영연구원/선임연구원
1997 ~ 2000 서울시립대학교/시간강사
1996 ~ 2001 서울산업대학교/시간강사
1995 ~ 2001 한국방송대학교/시간강사
1995 ~ 1996 현대경제사회연구원/위촉연구원
1992 ~ 1997 고려대학교/기업경영연구원/연구원
가입학회
한국영재교육학회, 이사
혁신클러스터학회, 감사
주요연구실적
- 김왕동ㆍ김기근 (2009), “혁신클러스터의 네트워크 평가: 대덕과 구미 IT클러스터 비교”, 혁신클러스터학회지, 1권 1호.
- 김왕동 (2007), "지리적 혁신클러스터의 한계와 극복방안 : 가상 혁신클러스터 관점에서",기술혁신학회지, 10권 4호.
- 김왕동 (2004), “기술혁신상의 사용자와 제조업자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인사조직연구, 12권 특집호, pp. 67-88.
- 임덕순ㆍ김왕동ㆍ유정화 (2004), “대덕연구단지의 발전과정 및 국제비교: 혁신클러스터 관점에서”,기술혁신학회지, 7권 2호, pp. 373-395.
- 김왕동 (2004), “기술능력의 축적과정 및 영향요인”, 「지식과 학습 그리고 혁신」, 인문회 지음, 서울: 시그마인사이트.
- 김왕동ㆍ김인수 (2002), “기술능력의 축적과정 및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지식경영연구, 3권 2호, pp. 49-70
- 김왕동 (2002), “사용자가 제조업자의 흡수능력 제고에 미치는 영향”, 인사관리연구, 26집 2권, pp. 1-23.
[보고서]
- 김왕동 (2010), 미국의 변혁적 연구 동향과 관리체계: NSF, NIH, HHMI, DARPA 비교분석, STEPI.
- 민철구, 김왕동, 엄미정, 박기범 (2010), 영재교육진흥법 등 법령개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 황용수, 김왕동 (2010), 한국과학창의재단 중장기발전계획, 한국과학창의재단.
- 김왕동 (2009), 세계적 과학자의 경력과정 분석과 시사점, STEPI.
- 김왕동 (2008), 공공연구조직의 창의성 영향요인 및 시사점, STEPI.
연구활동
김왕동 (2011), 교실혁명의 해법: 창의력 바퀴운동, 과학창의, 2월호.
김왕동 (2011), 미국의 인성교육 현황과 시사점, 교육정책포럼, 1월호.
김왕동 (2010), 창의와 인성: 글로벌 인재의 핵심 DNA, 과학창의, 2월호.
김왕동 (2010), 창의인성교육의 근본적 해법, Issues & Policy, 4월 14일.
김왕동, 성지은?(2009), 창의적 인재육성의 근본적 한계와 당면과제, STEPI Insight 제32호, 10월 15일.
김왕동 (2009), 이젠 대학교육의 창의성이다, Future Horizon, Autumn.
김왕동 (2009), 세계적 과학자 양성 및 연구환경 조성방안, STEPI Insight 제14호. 1월 15일.
김왕동, 홍정임 (2008), 학연협력의 방향과 당면과제, STEPI Insight 제11호, 9월 30일.
김왕동 (2008), 주요국의 창의적 연구 프로그램 유형 및 시사점, 과학기술정책, 12월.
김왕동 (2008), 출연(연)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창의적 연구문화 조성, 과학기술정책, 9월.
김왕동, 이민형 (2008), 창의적 프론티어 연구 환경 조성에 대한 탐색, STEPI Insight 제8호, 6월 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