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뉴스페이스 시대, 국내 위성산업 글로벌 가치사슬 진입 방안은? | ||
---|---|---|---|
작성일 | 2020.12.31 | 조회수 | 1229 |
첨부 | 뉴스페이스 시대, 국내 위성산업 글로벌 가치사슬 진입 방안은.hwp 1_STEPI_Insight_265_표지.jpg 2_안형준 연구위원.jpg 3_박현준 연구원.jpg 4_이혁 부연구위원.png 5_김은정 팀장.jpg | ||
뉴스페이스 시대, 국내 위성산업 글로벌 가치사슬 진입 방안은?
□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하 STEPI, 원장 조황희)은 저비용, 대량생산, 상용 부품 사용의 증가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등장과 이로 인해 다양한 옵션의 가치사슬이 형성되고 있는 글로벌 위성산업 시장에 국내 뉴스페이스* 기업의 확대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STEPI 인사이트(Insight)」제265호를 발간했다. * 뉴스페이스: 정부가 우주개발의 주된 자금 공급원이 되어 민간 대형 업체가 개발한 하드웨어를 구매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던 기존의 산업생태계가 새로운 민간 투자 파트너와 기업가적 활동(entrepreneurial activity) 모델을 기반으로 한 소규모 기업들의 활발한 참여 속에 민간 주도로 변화되는 양상을 뜻함
○ ‘뉴스페이스 시대, 국내 위성산업 글로벌 가치사슬 진입 전략’이란 제목의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위성기업들의 뉴스페이스 대응 동향 및 국내기업의 주요 거래망 분석 등을 통해 국내 위성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진입을 위한 국내 전략 수립의 시사점을 제시했다.
□ 보고서에 따르면 그동안 일부 선진국의 우주기관과 소수 국방우주 기업들이 점유해 왔던 우주산업은 위성 데이터의 상업적 활용 증가, 타 국가와의 기술 교류 확대, 이로 인한 우주투자 국가 수의 증가 등을 통해 글로벌 가치사슬이 확대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 특히, 위성산업은 위성제조, 발사, 위성운영, 서비스 등 4개의 가치사슬 및 가치사슬 내부에 다양한 옵션이 가능한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으며, 기업이 특정 기술을 갖추고 적절한 전략을 수립한다면 글로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환경이 도래하고 있다고 밝혔다.
□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우주분야 투자회사인 미국의 스페이스 엔젤스는 2009년 이후 2020년 3분기 현재까지 1,128개의 우주기업이 총 누적액 1,660억 달러(약 199조 원)의 민간투자 유치하고 있으며,
□ 이와 함께 국내 우주산업 거래 분석을 통해 수요측면에서 국내 대기업, 정부기관, 연구부문 중심의 거래구조 형성되고 있으며, 공급측면에서는 소수의 기업이 다수의 기업으로 공급하고 있다고 파악했다.
○ 다만, 공급역할을 담당하는 기업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위성체 제작분야 거래구조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모니터링과 기업의 육성을 위한 지원방안 마련의 필요성도 주장했다.
□ 또한, 국내 위성산업 거래구조를 파악한 결과 글로벌 가치 사슬에 편입되어 있는 기업들은 10개 남짓이며, 국내 위성체 제조산업은 4개, 위성정보활용 분야는 아프리카를 포함한 글로벌 전역과 거래관계가 형성되어 있으나 11개 기업 수준이라고 소개했다.
○ 이에 따라, 글로벌 거래가 축적되고 있는 우주정보 활용 분야를 중심으로 우주분야 협력 Pool 구축과, 정부 사업에 참여를 주로 하고 있는 국내 선도기업의 글로벌 기술 및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지원 방안 마련 필요성을 제시했다.
□ 마지막으로 보고서는 뉴스페이스 시대에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우리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을 쉽게 갖출 수 있는 분야는 위성정보 활용 분야라고 소개하면서, 위성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 기업에 대한 전략적 투자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이와 함께 위성정보 활용분야에서 부가가치가 가장 높은 분야는 지구관측 및 분석서비스이며, 국내 기업은 아시아시장에서 거래경험이 축적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 이에 따라 이번 보고서는 위성분야 글로벌 가치사슬 진입을 위해 ▲글로벌 가치사슬 편입을 위한 Alliance Pool 구축 ▲선도기업을 중심으로 기술 및 가격 경쟁력 제고를 위한 다각적 지원 필요 ▲위성 이미지분석 소프트웨어 투자 및 기업육성 ▲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 경험을 바탕으로 시장 확대 등을 해결할 과제로 도출했다. |
![]() |
2021년 주목할 만한 과학기술혁신정책, STEPI의 진단과 전망은 |
---|---|
![]() |
미·중 기술패권 경쟁과 변화하는 대외 환경에 어떻게 대비해야 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