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연구 외 연구원의 활동과 연구 결과를 담은 연구성과물입니다.
제목 | [Korea Report II]National Policy Transition in the COVID-19 Pandemic Era: Responding to Grand Challenges | ||
---|---|---|---|
권호 | 기타연구 기타연구 | ||
저자 | Caroline Paunov, SandraPlanes Satorra, Patarapong, Upalat, Mekuria, 박현준, 임륭혁, 조용래
![]() |
발간일 | 2020-12-15 |
조회수 | 5097 | 다운수 | 219 |
주제분류 | 과학기술혁신정책 > 국제과학기술협력
과학기술과 사회 > 과학기술과 보건/복지 ![]() |
||
키워드 | 코로나19, COVID19, 보건방역 | ||
원문다운로드 | korea_Report Ⅱ.pdf | 페이지수 | 124 |
이 보고서는 STEPI가 경제인문사회연구회(NRC)와 공동기획한 'Korea Report' 프로젝트의 두 번째 결과물이며,
2020년 1월 중순부터 4월 중순까지 한국의 대응 조치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Korea Report: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현황과 주요 동인'(2020.05.26. 발간)의 후속 간행물인 Era: Responding to Grand Challenges"의 제목 및 주제 下에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영문판으로 발간되었다.
Korea Report II는 다음과 같은 차별점을 가진다. 개도국과의 ICT 협력방안, 감염병 확산의 패턴분석 방법론 등 주제별 정책·학술 논문들(4 essays)로 구성된 학술지 형식을 갖추었다. 이를 위하여, 早稻田大學(와세다대학), PSI(Ethiopian Policy Studies Institute: 에티오피아 정책연구원), STEPI, KRIHS(국토연구원) 등 공백영역을 발굴하고 관련 전략 프로젝트 추진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한국 뿐 아니라 글로벌 재확산의 움직임 속에서 각국은 Pfizer, MODERNA 등 백신과 치료제 개발 및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2021년 내에는 집단면역 체계가 완성될 희망도 보인다. 지역사회 감염 위험도 아직 남아 있는 만큼 글로벌 시야에서 이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 국제협력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인식하고 정책계가 실천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Chapter 1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Policy in Times of COVID-19: International Perspectiv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