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장단기 정책발굴 및 정책대안 제시를 위해 발간한 연구성과물입니다.
제목 | 2018년 기업가정신 모니터링 사업 : 혁신창업생태계 연구 | ||
---|---|---|---|
권호 | 정책연구 18-20 | ||
저자 | 이정우, 김선우, 김영환, 이윤준, 백서인, 권기환, 모미령, 정효정, 이승재
![]() |
발간일 | 2018-12-30 |
조회수 | 51595 | 다운수 | 5532 |
주제분류 | 과학기술과 산업/경제 > 기술혁신 지원제도
과학기술과 사회 > 과학기술과 사회/문화 ![]() |
||
키워드 | 기업가정신, 창업생태계, 혁신창업, 혁신성장, 창업 | ||
원문다운로드 | P18-20.pdf | 페이지수 | 334 |
[연구목적]
○ 혁신창업’에 초점을 두고 기업가정신 및 혁신창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다차원별 심층 모니터링과 증거 기반의 정책 제언 - (연구질문) 한국의 혁신창업 현황 및 환경은 어떠하며, 혁신창업을 가로막는 장애요인은 무엇인가
[주요내용]
○ 국가 차원 - 한국의 기업가정신 및 혁신창업생태계 특성 분석: 기업가정신 지수 국제 비교를 중심으로 - 기업가정신 지수 구성: 창업가, 규제, 시장, 금융환경, 지식인프라, 능력개발/교육, 문화 - 기업가정신 지수 국제 비교 - 기업가정신이 국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기업 차원 - 혁신창업 동향 분석 및 사례 연구: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 국내외 혁신창업 동향 및 시장 트렌드 비교 분석: 미국, 독일, 영국, 중국, 대한민국 - 핵심기술별 4차 산업혁명 관련 스타트업 동향: 인공지능, 로봇, 블록체인, 핀테크 ○ 개인 차원 - 혁신창업자의 특성 및 초기 창업 프로세스 분석: 이공계 출연연 연구원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인식을 중심으로 - 연구원 창업의 개념 및 동향 - 출연연 연구원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인식 설문조사 분석 - 출연연 연구원 창업 관련 핵심 이슈 도출
[정책대안]
○ 국가 차원: 기업가정신 함양 및 확산을 위한 정책대안 - Entrepreneurship Push 전략으로의 정책전환: 기업가정신 촉진을 위한 법안 마련 - 기업가정신 평생교육체계 구축 - 기술금융 환경 조성 ○ 기업 차원: 혁신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정책대안 - 포괄적 네거티브 방식으로의 신산업분야 혁신창업 진입규제 혁신 - 혁신 스타트업의 우수 인력 유치를 위한 제도 개선 및 사회적 안전망 확충을 통한 창업문화 확산 - 민간 주도의 선순환 투자·회수 생태계 구축을 통한 글로벌 성공사례 육성 ○ 개인 차원: 연구원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대안 - 연구원 창업에 대한 법·제도 정비 및 가이드라인 마련 - 기술사업화 및 창업지원 조직의 확대 개편 - 출연연 내 (예비)창업자 지원 프로그램 체계화 - 연구원 창업 민간 지원 생태계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