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장단기 정책발굴 및 정책대안 제시를 위해 발간한 연구성과물입니다.
제목 | 바이오경제시대 과학기술정책의제 연구사업(8차년도) | ||
---|---|---|---|
권호 | 정책연구 18-19 | ||
저자 | 정일영, 김석관, 김승현, 김지연, 정기철, 이유현, 김가은
![]() |
발간일 | 2018-12-30 |
조회수 | 52964 | 다운수 | 5155 |
주제분류 | 과학기술혁신정책 > 국가혁신체제(NIS)
국가과학기술 미래전략 > 미래기술전망 과학기술과 사회 > 과학기술과 보건/복지 ![]() |
||
키워드 | 유전체분석, 면역항암제, 인공지능기술, 의료활용, 바이오경제 | ||
원문다운로드 | P18-19.zip | 페이지수 | 165 |
보고서번호 보고서명 P18-19-01 유전체 분석 분야의 현황과 발전방안 P18-19-02 면역항암제 개발 동향과 시사점 P18-19-03 인공지능기술의 의료활용 현황과 시사점
[연구목적]
○ (연구 주제) 2018년도 연구는 최근 헬스케어 분야에서 주목받는 유전체분석, 면역항암제, 인공지능(AI) 의료활용 등 3개 분야 심층 분석을 수행 ○ (연구 목적) 글로벌 차원에서 현재 주요 기업 사례, 시장 및 산업 현황을 살펴보고 국내 현황을 진단해, 최종적으로 국내 산업이 시장 기회를 찾기 위해 필요한 전략 및 정책 지원이 무엇인지를 모색
[주요내용]
□ 유전체 분석 분야의 현황과 발전방안 ○ 유전체 분석 기술의 진화와 유전정보 특징 분석 ○ 국내외 유전체 분석 산업의 현황 및 동향 비교 - 시퀀싱 분석장비, 임상진단, 건강관리 및 융합분야 등 ○ 임상진단용(NGS)과 건강관리용(DTC) 유전체분석 분야 심층 분석 및 제도적 이슈 도출 ○ 정책 시사점 도출을 위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 면역항암제 개발 동향과 시사점 ○ 항암 면역에 대한 기본적 이해와 면역항암제의 가능성 분석 ○ 면역관문 조절제와 CAR-T 치료제의 기본적 이해 및 현황 분석 ○ 국내외 개발 및 기업 동향 분석 □ 인공지능기술의 의료활용 현황과 시사점 ○ 의료분야에 활용되는 인공지능의 국내외 기업사례와 정책현황 분석 - 주요 5개 분야(신약개발, 정밀의료 및 수술, 보조, 프로레스 효율화, 이미징 및 진단)에 활용되는 인공지능 기술 및 기업 사례를 제시 ○ 인공지능의 의료활용에 대한 수요자 인식 설문조사
[정책대안]
□ 유전체 분석 분야의 현황과 발전방안 ○ 국내 유전체 데이터 확보 방안 ○ 규제 접근방식의 근본적 전환과 심사과정의 다양화 ○ 유전체학의 저변 확대를 위한 교육개선과 전문인력양성 ○ 실효성 있는 동의서 개발과 경제적 이익창출에 대한 개념의 변화 □ 면역항암제 개발 동향과 시사점 ○ 바이오 혁신 정책에 대한 시사점 - 기초연구 및 중개연구의 중요성 - 병원의 연구 역량과 임상연구의 중요성 - 기초연구 사업화 생태계의 중요성 ○ 면역항암제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 □ 인공지능기술의 의료활용 현황과 시사점 ○ 의료 빅데이터 구축과 표준화를 위한 정책 개발 ○ AI 기술 적용이 가능한 테스트베드 병원의 설립 ○ AI 기반 의료기기 인허가 제도 보완 ○ 의료 및 공학 분야의 AI 의료 교육 커리큘럼 마련 및 시행 ○ 장기적인 AI 제도의 방향성 정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