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장단기 정책발굴 및 정책대안 제시를 위해 발간한 연구성과물입니다.
제목 | 신성장동력 산업지식지도 작성 및 특성 분석: LED 및 태양광 산업을 중심으로 | ||
---|---|---|---|
권호 | 정책연구 11-04 | ||
저자 | 하태정, 이재억, 박병원, 서지영, 박성현, 황기웅, 박수영, 박성주, 나준호, 이재훈, 박미영
![]() |
발간일 | 2011-12-31 |
조회수 | 21029 | 다운수 | 6161 |
주제분류 | 국가과학기술 미래전략 > 미래성장동력
![]() |
||
키워드 | 신성장동력산업지식지도, LED, 태양광산업, 신성장동력산업지식지도, LED, 태양광산업 | ||
원문다운로드 | P11-04.pdf | 페이지수 | 225 |
□ 세계경제는 기술과 지식이 가장 중요한 성장요인으로 작용하는 지식기반경제로 급속하게 이행하고 있음
□ 기업이 급변하는 경쟁환경 속에서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지식경영과 지식관리시스템을 활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국가도 지식기반경제로의 급속한 이행 속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지식 및 정보의 활용이 필수임 □ 이에 산업혁신체제(SIS) 관점에서 과학기술 지식 및 자원의 효율적인 생산, 유통,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신성장동력의 산업지도를 작성하고, 이에 기초한 국가 차원의 과학기술정책 방향 제시 및 정책 아젠다 도출을 추진함
□ 산업혁신(SIS)를 규정하는 정량적 분석틀 도출
□ 논문, 특허, 인력, R&D 활동, 혁신성과 등에 관한 DB 등을 이용해 신성장동력 추진 관련 이슈 및 가설에 대한 산업지도 작성 □ 작성된 산업지도의 구조 및 특성에 관한 분석
□ 신성장동력 추진의 주요 아젠다 도출과 대응방안 제시
□ 산업지도 활용한 산업혁신 역량 강화를 위한 과학기술 정책과제 도출
□ 기초연구 비중 확대가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함
□ 투자주체별 R&D 관리 협력 증대 유도
□ 수행주체별 R&D 수행 비중 개선
□ R&D 투자와 연계한 그린 인력 육성
□ R&D 중복투자 관리 강화
□ 범정부차원의 점검?성과관리?종합지원 체계 보강
□ 녹색기술 R&D 투자비율의 조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