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 경쟁력 100년의 뒷받침: 미국 National Laboratory의 의미 | ||
---|---|---|---|
발간유형 | 동향과 이슈 | ||
권호 | 26 | ||
저자 |
손수정
![]() |
발간일 | 2016-06-17 |
조회수 | 10389 | 다운수 | 2424 |
주제분류 | 과학기술혁신정책 > 산학연 협력
과학기술혁신정책 > 해외과학기술정책동향 과학기술과 산업/경제 > 기술혁신과 산업구조 과학기술과 산업/경제 > 기술혁신 지원제도 ![]() |
||
키워드 | 산업 경쟁력, National Laboratory, 기술사업화 | ||
원문다운로드 | Trend_n_Issues_26.pdf | 페이지수 | 25 |
본 보고서는 National Laboratory의 역사를 통해 이해하고 기본기능과 설립현황, 기술사업화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등National Laboratory의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National Laboratory의 기본 기능은 기초연구 및 이를 위한 대규모 시설장비 공급, 국가안보를 위한 기술개발에 필요한 안전한 플랫폼 공급이라 할수 있다. 이러한 기본 기능을 기반으로 대규모 실험, 자본집약적,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한 '빅사이언스(Big Science)'와 새로운 분야 발굴 및 글로벌 경쟁과 협력을 수행한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지난 70년 이상 미국의 과학혁신을 선도하는 연구기관으로서 National Laboratory들이 활동해 왔고, 특히 미국 핵 억지력의 안정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글로벌, 국가, 자국 안보를 증진하기 위한 노력에 집중해 왔다.
National Laboratory는 민간영역의 기술개발에 대한 그들의 자체 지원 부담을 덜고 소기업은 첨단기술 장비 및 전문인력으로의 접근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지며, 국가적으로는 일자리 창출 및 국가 경쟁력 제고를 기대할수 있다.
또한, 연구소가 갖는 지식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과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차세대 전문인력 양성을 지원하며, 차세대 과학 및 엔지니어링 인력 양성을 위한 중고등 학생 및 교사, 연구자, 일반인을 대상하는 하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한다.
National Laboratory가 갖는 미션의 유연성을 확대하여 시대적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 과학기술자들에 대한 신뢰와 존중 문화 조성을 통한 역량 강화, 첨단장비 구축의 지속적 보완 및 접근성 제공을 통한 개방형 혁신플랫폼의 역량을 강화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