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트랜스휴먼 시대에 따른 미래 직업세계 연구 | ||
---|---|---|---|
연구책임자 | 박성원 | 연구기간 | 2017-01-01 ~ 2017-10-31 |
연구의 필요성 □ 미래창조과학부는 최근 AI, IoT, Big Data, Cloud, Mobile 등의 기술 발달로 지능정보사회의 도래를 가정하고 관련 기술개발 및 제도개선에 역점을 두고 있음 □ 미국 독일 등 주요 선진국은 최근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른 사회적 변화를 주시하면서 혁신적인 정책 대응을 기획, 실행하고 있음 □ 본 연구는 앞서 언급한 기술의 발달과 산업의 변화는 트랜스휴먼* 시대의 부상을 의미한다고 재해석, 이 시대에 일의 의미를 전망하고 새로운 정책적 이슈를 제기 *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 인간이 기술과 융합되는 추세에서 인간은 지적, 육체적, 감정적 능력의 증강을 통해 불필요한 고통으로부터 해방, 수명의 획기적 연장, 도전적인 삶을 추구 주요 연구내용 및 범위 □ 기술 발전과 직업의 변화 □ 트랜스휴머니즘 □ 트랜스휴먼 시대의 우리사회 □ 트랜스휴먼 시대 직업세계의 변화 추진체계 및 방법 □ 연구 주체 및 협동연구 의미 □ 전문가지식추출법(Experts Knowledge Elicitation) □ 설문조사 □ 미래 워크숍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 기술의 발전에 따른 직업세계의 변화를 추정할 수 있는 기본 모델(base model)의 개발 및 적용 ○ 전문가지식추출법(EKE)을 활용한 미래사회 예측의 이론과 실재 ○ 정책적 사각지대를 과학적이고 정량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방법론 개발 ○ 트랜스휴먼 시대 미래 직업세계의 구조 및 일자리 변동을 밝힘으로써 교육, 고용노동 및 사회정책 수립 및 법제화 지원 |
![]() |
기술혁신 성과지표 분석 및 DB구축사업 (12차년도) |
---|---|
![]() |
2017 글로벌 혁신 스코어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