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장단기 정책발굴 및 정책대안 제시를 위해 발간한 연구성과물입니다.
2/11 페이지 총 발간물 [63]개
정책연구 | 조현대, 홍사균 외 4인 | 2017-12-30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변화하는 환경속에서 국가 R&D 효율화를 위해 혁신 주체들(산학연)이 처해 있는 환경과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국가 R&D 지원체계 발전방향.비전에 부합하는 산학연별 국가 R&D 지원체계에 대한 핵심이슈들 선정○ 이러한 핵심이슈들을 중심으로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들에 근거하여 국가 R&D 효율성.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혁신 주체별(산.학.연) 지원체계 개선 이슈...
정책연구 | 황석원, 오승환 외 4인 | 2017-12-30 보고서번호보고서명P17-04-01 R&D 투자가 기업 성장과 도약에 미치는 영향 분석P17-04-02 과학기술 기반 미래 사회변화에 대한 R&D 투자의 영향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증거기반 정책수립에 기여하는 STEPI 고유의 R&D 투자영향평가 체계 구축 - STEPI 고유의 R&D 투자영향평가 분석틀...
정책연구 | 홍성민, 조가원 외 7인 | 2017-12-30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인공지능 발달 등 최근의 기술혁신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기술일자리의 측면에서 진단하는 데 초점 - 이를 바탕으로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일자리의 질적 변화에 대한 대응 방안 측면에서 미래 인재 양성방안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적 [주요 연구내용] ○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한 지능정보기술의 발전과 이에 따른 산업 및 고용 변화에 대한 기...
정책연구 | 박기범, 홍성민 외 3인 | 2017-12-30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민간 부문에 진출한 이공계 박사인력의 업무와 경력 경로에 대해 시기별, 부문별, 영역별 등 다각적 분석을 통해 고급과학기술인력 양성 및 활용의 시사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 향후 고급과학기술인력에 대한 국가 차원의 체계적 관리 및 조사방안 도출[주요 연구내용] □ 연구의 배경 ○ 이공계 박사학위자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이 선호하는 공공 부문 일자리는 정체...
정책연구 | 양승우, 홍성주 외 4인 | 2017-12-30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혁신정책 거버넌스 개편과 과학기술 법제 간 정합성 제고방안 마련 - 혁신정책 거버넌스 구현을 위한 과학기술 법제 거버넌스 재설계 - 국정 아젠다 구현을 위한 법제 개편방안 마련□ 과학기술 분야 신규 입법수요 발굴 및 입법 방향성 도출 - AI,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주요 정책 이슈 관련 법제 개편방향 - 개인정보 활용과 ...
정책연구 | 신은정, 안형준 외 5인 | 2017-12-30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디지털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과학계 오픈사이언스 추세가 확대되고 있으며, 공공연구의 성과 공개에 관한 오픈사이언스정책은 이러한 추세를 강화시킴○ 국내외적으로 오픈사이언스 추세가 새로운 과학계 전환을 예고하고 있는 만큼, 국내적으로도 오픈사이언스정책의 도입 및 이행이 필요한 시점임○ 이에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오픈사이언스정책의 동향을 살피고, 오픈사이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