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 페이지 총 발간물 [64]개
기타연구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2020-12-31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STEPI 전문가 10인을 통해 국가 핵심 의제를 뒷받침하는 구체적인 과학기술혁신 전략 방향을모색하고자 「STEPI 아웃룩(Outlook) 2021」를 발간했다. 「STEPI Outlook 2021」은 COVID-19 팬데믹 등 국내외 환경변화와 국가 과학기술혁신정책을 혁신시스템, 혁신성장, 글로벌혁신 관점에서 진단하고 정책부문별 전망을 통해 2021년 국가정책 시사점과 추진 방향성을 제시했다.&n...
STEPI Insight | 안형준, 박현준 외 2인 | 2020-12-30 그동안 일부 선진국의 우주기관과 소수 국방우주 기업들이 점유해 왔던 우주산업은 위성 데이터의 상업적 활용 증가, 타 국가와의 기술 교류 확대, 이로 인한 우주투자 국가 수의 증가 등을 통해 글로벌 가치사슬이 확대되고 있다. 가치사슬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부문은 저비용, 대량 생산, 상용 부품 사용이 증가하면서 세부 분야에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옵션이 가능한 가치사슬이 ...
과학기술정책지 | Mekuria Haile Teklem, Patarapong Intarakum 외 8인 | 2020-12-30
STEPI Insight | 백서인, 윤여진 외 1인 | 2020-12-23 미·중 패권 경쟁은 첨단 기술 및 신산업 영역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전략적 대응의 필요성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미국은 통상 제재, 표준 제재, 인적 교류 금지, 웹·앱 사용 금지 등 강도 높은 제재를 단행하고 있으며, 중국도 통상 정책, 기술 자립 지원, 자체 표준 구축, 로비 활동 확대 등을 통해 대응하고 있다. 세계 주요국은 자국의 정...
STEPI Insight | 오윤환, 김은아 외 1인 | 2020-12-17 본 연구는 美 바이든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향후 과학기술혁신정책의 방향성을 전망하고 한국의 대응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과학기술혁신 관련 조직과 연방정부 연구개발투자 예산을 중심으로 주요 이슈를 분석하였다. 특히 미국 연방정부의 과학기술혁신정책은 개별 부처차원 정책이기보다는 백악관 과학기술정책국(OSTP)* 중심으로 수립·조정되며, 대통령의 의지에 따른 변동성이 큰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바이든 당선인이...
기타연구 | Caroline Paunov, SandraPlanes Satorra 외 6인 | 2020-12-15 이 보고서는 STEPI가 경제인문사회연구회(NRC)와 공동기획한 'Korea Report' 프로젝트의 두 번째 결과물이며, STEPI 및 NRC 홈페이지에 2021년 1월중 공개하였습니다. 2020년 1월 중순부터 4월 중순까지 한국의 대응 조치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한'Korea Report: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현황과 주요 동인'(2020.05.26. 발간)의 후속 간행물인 이번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