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장단기 정책발굴 및 정책대안 제시를 위해 발간한 연구성과물입니다.
1/10 페이지 총 발간물 [58]개
STEPI Insight | 이윤준, 권기환 | 2019-11-20 2012년 벤처 투자자인 Aileen Lee가 설립 10년 이하, 기업가치 10억 달러(약 1조 원)인 기업을 유니콘에 비유하면서 탄생한 유니콘기업이 최근에는 사흘에 하나꼴로 탄생, 400여개에 달할 정도로 폭증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10개의 유니콘기업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정부는 2022년까지 유니콘기업 20개 배출이라는 목표를 설정하는 등 유니콘기업 육성을 천명하기도 하였다. 2019년 5월 8일 기...
Future Horizon | 최병삼, 최민석 외 13인 | 2019-10-31
한 세대 후 우리가 원하는 대한민국으로 가는 길
한 세대 후 기술: 한 세대 후 기술, 어떻게 예측할까? 어떻게 상상할까?
한 세대 후 사회문화 : 직선적 미래를 넘어 카운터 퓨처리즘(Counter Futurism) 관점에서
한 세대 후 환경 : Environment of ROK&S (Republic of KOREA & SEOUL)
STEPI Insight | 백서인, 손은정 | 2019-10-15 로봇은 생산과 서비스의 경계를 허물고 기존 방식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는 미래 유망 분야로 중국 정부는 핵심 부품과 기술의 해외 의존을 줄이고, ‘제조 강국’으로 진입하기 위해 로봇 굴기에 집중하고 있다.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중국의 정책, 산업, 기술 경쟁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의 로봇 관련 정책은 ‘중국제조 2025’, &lsquo...
STEPI Insight | 조용래, 박현준 외 2인 | 2019-09-18 한국의 과학기술 분야 출연연구원(출연(연))들은 각 시대적 요구에 부응한 역할을 부여받아 성장과 발전을 거듭해 왔다. 특히, 시대적 상황이나 정권별 정책방향에 따라 그 발전 양상은 다른 패턴을 보여 왔다. 이러한 한국 출연(연)의 발전에 있어서 부설연구소 설립이 토대가 되는 경우가 많았고 출연(연) 발전의 역사와 그 궤(軌)를 같이 해 왔다. 그런데 최근 부설연구소의 설립 및 독립의 기준 마련이 중요한...
STEPI Insight | 손수정 | 2019-09-04 기술사업화를 위한 주요 동력은 좋은 기술, 전문성과 열정을 갖는 사람, 불확실성을 감수하고 과감하게 뛰어들 수 있는 자본, 그리고 적정 시장 환경의 조성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자본은 기술사업화를 가능하게 하는 윤활제로서 흔히 기술금융으로 일컬어진다. 즉, 기술금융은 기술자산을 중심으로 하는 자금의 거래로서 성공적인 기술사업화를 위한 기술성 및 시장성 보완을 위한 중요 투입요소이다. 기술금융은 기술인큐베이션을 위...
Future Horizon | 황석원, 한 세대 후 대한민국 집필팀 외 12인 | 2019-08-31
한일 무역-안보 갈등 상황에서 공공 R&D의 새로운 임무
미래 세대가 상상하는 한 세대 후 대한민국
2049년, 결혼과 가족의 미래 - 다양한 동거 문화의 등장
2049년, 교육의 미래 - 행복수업 1장, ‘나’를 배우다